반응형

[교통기술사 기출문제 유형별 정리, 2003년~2016년 총정리 분석, 출제빈도 및 중요도 파악]

번호는 출제연도-출제회차-교시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16-110-1 2016110회차 1교시임.

 

<. 교통공학, KHCM>


---------------------교통공학--------------------

 

-교통량-

03-69-1 연평균일교통량

05-75-1 AWT(Average Weekday Traffic)의 추정

07-81-1 ADTAWT

 

-첨두시간계수, 설계시간계수-

05-75-1 DHF(Design Hour Facter)

06-78-1 PCEPCU의 정의 및 차이점

06-78-1 30th 시간교통량

07-83-1 Peak Hour Factor를 설명하시오.

09-89-1 설계시간계수의 특성

14-104-1 설계시간 교통량

16-110-1 설계시간교통량과 설계시간계수

 

-속도, 점유율-

05-77 도로를 설계할 때 척도가 되는 대표속도를 설명하고 85%속도, 허용속도, 운행속도간의 관계를 설명하시오.

09-87-1 공간점유율(Space Occupancy)

11-95-1 교통공학부문에서 속도의 종류 및 정의

14-104-1 시간평균속도와 공간평균속도

16-108-1 85백분위(Percentile) 속도

 

-교통류 이론-

05-75 교통류분석이론과 적용사례를 들고 설명하시오.

06-80 교통류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를 설명하고 이들 지표 상호관계와 현장 실무에서 각 지표 적용시 나타나는 한계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기술하시오.

06-80 과거 US-HCM(Highway Capacity Manual)등에 언급되었던 용량은 속도-교통량의 상호관계 규명에 따라 변화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의 원인과 변화양상의 추이를 기술하시오.

09-87 고속도로의 본선부 병목지점에서 정체가 시작해서 해소될 때까지의 교통류 변화를 교통량-밀도 곡선(q-k curve)을 이용하여 단계별로 설명하시오.

09-87 국내 도로용량편람의 고속도로 기본구간에 대한 서비스 수준별 교통특성을 속도-교통량 곡선(u-q curve)에서 각각 표현하고, 서비스 수준별로 운행특성을 설명하시오.

12-98 교통류 모형 Greenshield모형과 GreenBerg모형을 설명하고, Greenshield모형을 가지고 임계밀도식과 최대교통류율을 유도하시오

16-108 통행비용함수와 교통류모형(속도-밀도모형)과의 관계 및 후굴현상(Backward Turn)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6-110 연속교통류의 3요소인 속도(u), 교통량(q), 밀도(k)의 관계에 있어서 통과교통량이 최대일 때 속도, 밀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시거, 반응시간 -

05-75 운전자의 평균 반응시간 또는 반응시간의 분산을 줄이기 위한 방법을 논하시오.

05-77-1 시거(Sight Distance)

07-81-1 정지시거(Stopping Sight Distance)

09-87-1 최소정지시거의 결정요소

09-89-1 시거의 종류

11-93-1 피주시거

14-104 시거의 정의와 각 시거 별 세부사항에 포함되는 내용을 각각 설명하시오.

15-105-1 정지시거와 PIEV 의 관계

 

-충격파-

06-80 충격파(Shock Wave)의 유형별 특성을 설명하시오.

09-89-1 충격파 유형

15-107-1 충격파

 

- 대기행렬 -

10-92-1 대기행렬 처리 원칙과 대기행렬분석에 필요한 사전정보

 

-추종이론-

06-78-1 차량추종이론(car-following theory)

09-87-1 추종이론(Car-Following Theory)의 민감도(Sensitivity)

 

-critical gap, lag-

06-80-1 한계차간간격(critical gap)

06-80-1 Lag

11-95-1 Critical GapLag

04-74 임계간격(Critical Gap) 추정 방법을 논하시오.

05-75 임계수락간격에 대하여 논하시오.

06-80 차간간격수락이론(gap acceptance theory)을 적용할 수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고속도로 합류부에서의 간격수락 유형을 서술하시오.

10-92 운전자의 임계간격의 개념, 추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4-104-1 임계간격

15-105-1 차두시간(Headway)차간시간(Gap)차두간격 Spacing)

 

-Transit-

11-95-1 Transit operation time-distance profile (가속, 주행, 감속, 정차 등)

16-110-1 대중교통 Dwell Time





---------------------KHCM--------------------

 

-지체도-

03-69-1 출발지체시간(start-up delay)과 정지지체시간(stop delay)의 비교

04-74-1 교차로 지체도 종류

05-77-1 지체도(Degree of Delay)

15-107-1 지체도

 

-교통류율-

04-74-1 보행교통류율

04-74-1 포화교통류율

06-80-1 교통용량과 포화교통량의 차이점

08-84-1 교통량, 교통수요, 교통류율의 개념과 차이점

11-93-1 보행교통류율

12-98-1 포화교통류율(Saturation Flow Rate)

16-110-1 보행교통류율

 

-2차로 도로-

04-74-1 왕복 2차로 도로의 총 지체율

04-74-1 차로군 분석에 필요한 도로조건 변수

05-75 2차로 도로의 운영상태 분석 절차에 대해 논하시오.

12-96 양방향 2차로도로에서 앞지르기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앞지르기의 과정, 차량군형성, 앞지르기 요구횟수와 기회 등)

12-98 2차로 도로의 서비스 수준 분석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다차로도로-

04-72 한국도로 교통용량 편람(KHCM)상의 다차선 도로의 유형별 용량 산정방법을 설명하고, 개선방안을 논하시오.

13-101-1 다차로도로의 평면선형 굴곡도와 종단선형 경사도

 

-신호교차로-

06-78 교차로의 용량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설명하고 용량을 증대하기 위한 주요대책방안을 열거하고 특징을 쓰시오.

07-81 신호교차로 용량분석에서 우회전 차로의 노변마찰로 인한 포화 차두시간 손실에 대하여 논하시오.

07-83 신호교차로 용량산정 및 분석과정을 기술하시오.

07-83 신호교차로 서비스 수준 결정시 MOE(Measure of Effectiveness)에 대해 서술하고 교통량/용량(v/c) 비율을 MOE로 사용할 경우의 문제점을 기술          하시오.

05-75 비신호 교차로의 유형과 MOE 서비스수준 분석과정에 대해 설명하시오.

07-83-1 유효녹색신호시간을 설명하시오.

09-89-1 최소녹색시간유효녹색시간

10-90 신호교차로와 비신호교차로의 서비스수준 분석방법을 기술하시오.

11-93 평균제어지체 계산 및 서비스 수준분석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2-96-1 독립교차로에서 교통신호주기와 지체도의 관계

12-98-1 과포화주기(Cycle Failure)

13-99-1 제어지체(Control Delay)

13-101-1 신호교차로 평균제어지체(KHCM)

14-102 신호교차로의 용량과 손실시간의 관계를 설명하시오

16-108 신호교차로에서 초기 대기차량이 없는 경우에 서비스 수준을 결정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버스-

04-74-1 서비스 수준분석 및 용량산정을 위한 버스의 효과척도

09-87 국내 도로용량편람에 따른 버스의 서비스수준 평가방법을 설명하고,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논하시오.

04-72-1 버스정류장의 용량 결정 요소와 방법

04-74 버스정차면 용량 산정에 대해 연속류와 단속류를 구분해 기술하시오.

16-110 우리나라 대중교통 용량산정 과정 중 버스의 정차면 용량산정 방안을 설명하시오.

 

-보행-

04-74-1 보행자 시설의 종류

05-77 보행자 통행의 서비스 수준 결정요인과 과정을 설명하시오

06-80 보행자 시설의 유형별 효과척도 및 서비스 수준 분석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14-102 보행자 시설(횡단보도 제외)의 유형을 구분하고, 각 유형별 서비스수준 산정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소요차로수-

07-83 고속도로 기본구간의 소요차로수 산정과정을 기술하시오.

10-90 고속도로 설계시 차로수 산정방법을 기술하시오.

 

-연동계수, 옵셋-

15-107-1 연동계수

15-105-1 Offset



교통기술사 기출문제 유형별 정리_Ⅰ. 교통공학, KHCM.pdf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