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종이론(car-following theory)
▷ 개요
- 추종이론은 동일 차로를 주행하는 2대 이상의 차량중 뒷 차의 운전자가 앞차의 주행상태에 대해서 어떻게 반응하게 되는 가를 설명하기 위한 이론
- 교통류 주행특성 이해, 추돌사고 회피기법의 이론적 토대
[사진출처 : https://www.carwow.co.uk]
▷ 차량추종이론(car-following theory)
- 기본개념
(1) 민감도와 인지반응시간의 관계에서의 상태 규명
(2) 민감도 : 운전자에 따라 자극에 반응하는 정도
(3) 인지반응시간(t+T)=민감도(α)×자극(t)
여기서, t : 자극이 발생한 시점(앞차의 감속, 브레이크 점등)
T : 인지반응시간
[사진출처 : https://cybergeo.revues.org]
▷ 추종모형의 응용
(1) 첨단운전자 보조시스템(ADAS :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알고리즘 개발과 평가
(2) 고속도로의 버스전용차로에서 버스 차량군 형태분석
(3) 소형차량이 교통류의 속도와 교통량에 미치는 영향 및 운전중 안전에 관한 연구
(4) 운전자 및 차량특성中 추돌사고에 가장 영향을 주는 요소
▷ 추종모형의 한계 및 개선
(1) 한계점
① 단순한 운동역학적인 변수만 고려
② 고려되는 변수 : 상대속도, 상대거리, 순간속도
③ 기존 추종모형은 현장의 실제상황과 차이 발생
(2) 개선방안
① 실제 추종형태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고려
② 인적요소(성별, 동승자 수 등), 교통요소(차로수, 차종, 주행차로 위치 등), 환경요소(날씨, 시간대 등)
③ 새로운 추종모형 개발과 첨단장비의 활용, 분석이 필요
'교통기술사 > 02. 교통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격파(Shock wave) (0) | 2017.03.21 |
---|---|
속도의 종류 및 정의 (2) | 2017.03.13 |
차두간격, 차두거리, 차간간격 (2) | 2017.03.10 |
교통류의 점유율 (3) | 2017.03.10 |
딜레마구간과 옵션구간 (0) | 2016.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