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능동적 교통관리, ATM(Active Traffic Management)

 

[자료출처 : 능동적 교통관리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 2012, 도로교통공단]

 

󰊱 능동적 교통관리 ATM(Active Traffic Management) 개념

- ATM으로 알려진 능동적 교통관리(Active Traffic Management) 프로그램은 변화되는 실시간 교통 상황이나 예측되는 교통 상황에 따라 동적으로 교통시설물의 수요를 관리하며, 가용한 서비스 용량을 조절하는 방식을 의미

 

[사진출처 : https://rno-its.piarc.org]

 

󰊲 ATM의 기법

 

진입로 신호제어 시스템(Ramp Metering)

- 고속도로 합류 구간에서 교통류 흐름을 향상시키고 사고를 감소시키기 위해 진입로에 신호제어기를 운영하여 진입 교통량을 통제하는 기법

차로관리 시스템

- 지정차로제 기법들은 실시간으로 운용되지 않지만 점차 실시간 교통상황에 따른 차로 선정을 통해 동적 차로를 정하는 기법들로 진보

- 다인승전용차로(HOV), 다인승 및 유료차로(HOT), 가변차로 등이 있으며, 실시간으로 교통상황에 따라 차등된 요금이 부과되는 기법도 적용

속도 조절 시스템(Variable Speed Limits)

- 도로의 교통 상황과 기상 조건에 대응하여 동적으로 제한속도를 변경하여 운영하는 제도, 가변제한속도제

정체경보 안내 시스템(Queue Warning)

- 도로의 일정 구간마다 운전자들에게 하류부의 정체 상황을 안내하여 교통류가 차로별로 고르게 분포될 수 있도록 유도, 서비스 용량을 최대한 활용하며 대기행렬의 끝에서 자주 발생하는 추돌사고를 예방

갓길차로 운행 시스템시스템(Hard Shoulder Running)

- 상습 정체 구간에서 버스가 도로의 좌·우측 갓길을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사고 구간이나 공사 구간에서 병목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해 동적으로 갓길을 가용차로로 운영하는 기법

고속도로 분기점 관리 시스템(Junction Control)

- 가변 교통표지, 동적 노면표시 등을 활용하여 분기점 구간 내의 본선이나 합류, 분류 차로의 용도를 교통수요에 적합하도록 변경하는 운영방식

동적 노선 재배정 시스템(Dynamic Re·Routing)

- 하류부 구간의 교통 상황에 따라 도로 이정표지를 변경하여 도로이용자가 도로표지에 따라 우회하도록 하는 기법

교통 이용자 정보시스템(Traveler Information System)

- 가변정보표시판 (Variable Message Signs)으로 정체 및 사고 등의 교통 상황과 우회도로 정보를 제공하여 이용자가 우회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동적 노선재배정 시스템과 병행하여 운영 가능

 

󰊳 ATM의 효과

- ATM 프로그램의 적용은 도로운영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통행 시간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도를 증가

- ATM 프로그램은 기존의 전형적인 교통관리기법과 첨단 지능형 교통시스템의 기술을 접목하여 도로 시스템의 전체 혹은 일정 구간을 능동적으로 관리하여 교통시스템의 효율을 향상

반응형
반응형

 시간처침(time-lag)

 

- 정보의 시간처짐(timelag)에 기인하는 오차로서 주어지는 정보는 출발시간에 구간 목적지에 도달한 차량들의 통행시간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출발 차량이 겪을 교통상황을 고려하지 못하는 과거 통행시간이 주어짐에 따라 실시간이 아닌 과거 정보에서 오는 오차

통행시간 자료가 해당 구간의 교통상태를 정확히 반영한다고 가정할지라도 실제 운전자가 경험하게 되는 교통상태와는 차이가 발생하는데, 이유는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대상차량과 통행시간을 제공받는 대상차량간의 출발시점 차이인 시간처짐(Time-lag)이 발생하기 때문이

 

- 예를 들어 방금 AVI 또는 DSRC에서 측정된 구간통행시간이 5분이라면, 이는 5분전에 구간검지 측정구간 시작점에서 출발한 차량이 구간검지 측정구간을 통과하는 데 걸린 시간으로, 지금 관측 시점부를 통과하는 차량의 구간통행시간과는 차이가 발생


[사진출처 : https://commons.wikimedia.org/]

 

- 통행시간 추정 측면에서만 살펴보면 AVI는 한 쌍(Pair)이 설치된 도로구간을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직접적으로 계측하므로, AVI를 통해 관측된 차량의 통행시간을 단순 명료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하지만 차량이 종점부 AVI를 통과한 후에야 해당 차량의 구간 통행시간이 측정되므로, 측정시점에서 시점부 AVI를 막 통과하는 차량이 해당 구간을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과는 차이가 있으며, 이를 통행시간 추정의 시간처짐(Time Lag)이라고 함

 

- 통행시간 정보 제공 측면에서 볼 때 지점검지기 자료는 과거 정보이며, 시간처짐에 따른 교통상태(Traffic state) 변화 때문에 이용자는 오차가 발생한 통행시간 정보를 받게 됨

반응형
반응형

 클라우드 BIT, 클라우드 BIS

 

이전 자료에 보완

[자료 : 전국 버스정보시스템(BIS) 도입 및 통합서비스 방안 마련 연구, 2015, 국토교통부]

버스운행정보를 Cloud Computing기술을 활용하여 정보를 인터넷 상의 서버에 저장하고, 이 정보를 이용자에게 각종 기기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든 제공하는 기술

 

Cloud Computing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서 데이터 및 콘텐츠를 관리하고, 클라이언트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필요 자원을 빌려 쓰는 형태의 기술을 뜻함

데이터와 프로그램들이 개인의 PC에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인터넷 기반의 구름(서버)들에 저장되어 이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를 제공

사용자가 PC, 휴대폰 등의 단말기를 통해 클라우드에 원격 접속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새로운 컴퓨팅 환경

 

[사진출처 : 전국 버스정보시스템(BIS) 도입 및 통합서비스 방안 마련 연구, 2015, 국토교통부]

 

클라우드 BIT의 특·장점

1) 장애요소 최소화

정류소 안내단말기는 표출만을 담당하여 장애 요소를 최소화

산업용 컴퓨터를 사용하는 정류소 안내단말기 대비 단순한 구성으로 장애요소 축소

2) 시스템 확장

시스템 및 환경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류소 안내단말기 확장 가능

수용 용량 확장이 필요할 경우 용량 증설만을 통한 시스템 확장 가능

3) 장애대응 신속

정류소 안내단말기 운영체제 및 소프트웨어 장애 발생시 센터에서 직접 조치가 가능하여 현장조치 불필요

가상 운영체제를 사용하여 복구가 용이

4) 비용 절감

산업용 컴퓨터를 사용하는 정류소 안내 단말기 대비 저렴한 구축비용

장애요소 축소 및 부품 단순화를 통한 유지보수 비용 절감


 

[사진출처 : 전국 버스정보시스템(BIS) 도입 및 통합서비스 방안 마련 연구, 2015, 국토교통부]

반응형
반응형

 지점검지체계와 구간검지체계의 장단점 비교

 

 

- 교통자료 수집방식 분류 -

교통정보의 수집은 특정지점에서 교통류의 특성변수인 교통량, 속도, 점유율을 수집하여 가

공하는 지점검지체계(point-based measurement), 특정 구간을 통과하는 차량의 통과시

간으로부터 교통자료를 수집하여 가공하는 구간검지체계(section-based measurement)

구분할 수 있음

 

지점검지체계

지점검지체계는 도로의 일정 지점에서 차량의 존재나 통과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검지체계로서, 도로상의 특정 지점에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검지영역을 형성하고 이를 통과

하는 차량들에 의하여 발생하는 물리적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지점 교통정보를 수집함

검지기술에 따라 루프, 영상, 자기, 초단파, 초음파, 적외선검지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각의 기술별 동작환경, 성능, 구축 및 운영방법 등에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로 및 교통환경 등의 여건에 따라 적절한 기술을 선택해야 함

일반적인 지점검지체계는 센서(검지부)와 제어부로 구성되며, 센서의 자료를 제어부에서 연산

하여 점유율, 속도, 차종, 중량 등을 검지해냄

 

구간검지체계

구간검지체계는 도로일정구간에 대하여 시점부와 종점부를 통과하는 차량의 통과시각 차이를

통하여 구간통행시간 등의 교통정보를 직접 수집하는 체계를 말하며, 대표적으로 활용되는

기술로는 AVI, GPS, Beacon, DSRC 등이 있음

 

- 검지체계별 특성 -

 

 

[자료 : 도로부문 지능형교통체계 설계편람, 2016, 국토교통부]

반응형
반응형

 클라우드 버스정보시스템(Cloud BIS)

 

[ 자료 : 충남 버스교통정보체계 구축 및 활용방안, 전략연구 2015-20, 충남연구원 ]

 

한편 클라우드 방식 정류소안내단말기(BIT)은 기존의 BIT는 컴퓨터 단말기를 포함하고 있어 고비용이나 클라우드 방식의 BIT는 중앙센터의 서버컴퓨터에서 정보를 처리하고 현장은 화면표출만 하는 방식으로 기존 BIT 가격대비 약 30~40% 수준으로 경제적인 방식이다.

 

- 버스정보시스템(Bus Information System, BIS)은 버스의 운행정보를 실시간으로 전하는 첨단교통시스템을 말한다.

- 각 버스에 GPS 장치를 설치하여 인공위성을 거쳐 교통정보센터에 전송된 데이터를 인터넷 홈페이지, 휴대 전화의 SMS 서비스, 정류장에 설치된 전광판이나 버스 정보 단말기(Bus Information Terminal, BIT) 등으로 다시 전송하여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버스교통정보체계 도입필요성

- 버스교통정보체계(BIMS)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많은 사업비가 소요된다. 결과적으로 재정건전성이 열악한 지자체가 자체사업으로 추진하기에는 부담스러운 것이 현실이다.

- 이러한 지자체의 어려움을 일부라도 완화하기 위해 중앙정부는 시군과 매칭사업으로 버스교통정보시스템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버스교통정보를 수집 가공제공연계하는 물리적인 정보센터를 구축운영하는 방식(기존방식)으로는 막대한 구축 사업비가 소요되기 때문에 버스교통 정보화사업의 확산 속도를 높일수가 없다.

- 이와 같은 현실적인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별 단독 운영정보센터 구축방식이 아닌 (가상)통합 서버형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하는 구축방안을 제안하였다.

 

클라우드 버스정보시스템(Cloud BIS)

- 클라우드 방식에 기초한 버스교통정보체계(시스템)는 지자체별로 단일 버스교통정보센터를 구축운영하지 않고, 지자체의 버스운행정보가 가상센터(클라우드 컴퓨터)와 직접 연결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 지자체별로 구축한 현장설비를 통해 버스운행정보가 수집되고, 클라우드 컴퓨터에서 이를가공한 후 이용자에게 직접 제공하는 방식으로 지자체별로 구축하는 기존 방식에 비해 물리적인 센터 시스템의 구축유지관리비용, 서버 구매설치비, 업데이트 및 소프트웨어 구매비용 뿐만 아니라, 시간인력 비용이 절감되므로 저비용으로 버스교통정보체계 구축운영이 가능하므로 지속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 자료 : 충남 버스교통정보체계 구축 및 활용방안, 전략연구 2015-20, 충남연구원 ]

 

클라우드 버스정보시스템(Cloud BIS) 장점(기대효과)

-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버스정보시스템의 장점은 기존의 지자체별로 교통정보센터를 구축 운영하는 방식에 비해

버스 장류장 안내단말기(BIT)는 표출만 담당하게 하고 내부구성을 단순화함으로써 현장설비의 장애요소 축소가 가능

버스 정류장 안내단말기(BIT) 운영체제 및 소프트웨어 장애 발생시 센터에서 직접 조치가 가능하여 발생된 장애에 대해 신속한 대응이 가능

시스템 및 환경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류장 안내단말기 기능 확장 및 용량 증설이 용이

산업용 컴퓨터를 사용하는 버스 정류장 안내단말기(BIT) 대비 구축비용이 저렴하고 장애요소 축소 및 부품 단순화를 통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

반응형
반응형

 차로제어시스템(LCS, Lane Control System)

 

[ 자료: 능동적 교통관리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2012, 도로교통공단 ]

 

- 능동적 교통관리시스템(Active Traffic Management System)은 연속류를 대상으로 차로관리, 속도관리, 유고관리, 교통정보 제공 등 다양한 교통 관리를 통합하여 서비스하는 시스템으로, 주로 대도시 주변의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설치운영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가변속도제한, 갓길차로제, LCS, 램프미터링이 있음

 

차로제어시스템(LCS, Lane Control System)

- 차로제어시스템은 차로제어신호기를 설치하여 기존차로의 가변활동 또는 갓길의 일반차로 활용 등으로 단기적인 서비스교통량의 중대를 통해 지·정체를 완화시키는 교통관리기법이다.

- 또는 터널, 교량등 교통사고 발생 시 돌발상황에 신속히 대응토록 LCS(Lane ControlSystem) 신호기를 500m 간격으로 설치하여 녹색화살표와 적색 X표로 표시한다.

 

[자료출처 및 참조 https://ops.fhwa.dot.gov/]

 

- 국내의 경우 전국 고속도로 교통 혼잡구간 50% 감소를 목표로 기존 도로용량을 소프트웨어적으로 확대하기 위해 차로제어시스템을 확대 시행하였으며 차로제어의 방안인 갓길차로제는 고속도로 갓길차로에 통행 가능 여부를 표시하는 신호기를 설치하여 지·정체시 차로를 이용해 교통 수요에 탄력적으로 도로용량을 증대시키는 교통운영 기법으로 본선 교통속도가 80km미만인 경우 갓길을 주행차로로 이용한다.

반응형
반응형

 차량검지기(Vehicle Detection System) 종류 및 특성

 

[참조 : 국가교통정보센터 연계교통정보신뢰성 개선방안, 2008. 3, 국토해양부]

 

차량검지기는 교통량, 점유율, 지점속도, 차종 및 정지 영상 등의 기본자료를 수집할 수 있

는 장치로 크게 지점검지, 구간검지체계로 구분된다



지점 검지기 체계는 도로 상의 한지점Point)의 교통류 특성을 검지하는 검지기 체계로 설치지점의 지점속도Spotspeed), 교통량(시간점유율을 검지하고 여러 지점의 검지기 자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2차 정보의 추정도 가능)

구간 검지기 체계는 도로구간의 통과시간 통행속도 혼잡상태 수집을 위한 검지기 체계로서 차량번호 인식장치나 위치파악 기술과 파악된 위치정보교환을 위한 통신기술의 통합이 필요


[사진출처 및 참조 http://www.co.washington.or.us/]

 

차량검지기특성비교

루프검지기

-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지점 검지기술로서 도로면에 인덕턴스 루프 코일을 매설한 루프선에 10KHz200KHz 주파수의 교류 전원을 연결하여 루프 코일에 균일한 인덕턴스를 가진 교번 자장이 형성되어 루프위를 차량이 통과할 때 인덕턴스의 변화를 검지하는 방식

- 검지 정보의 신뢰성이 우수하고 설치비가 저렴하여 기본적인 교통계수 검지에 장점이 있으나 - 차종 분류가 어렵고 설치 시 교통흐름 방해와 도로 파손으로 유지 보수비용이 과다한 단점


◦ 자기검지기

- 유도 자장에 형성된 검지영역에 금속 물체가 존재할 때 미소량의 자계 변화를 이용하여 교통 파라메터를 측정하는 검지기로서 루프 설치가 곤란한 지점에 설치하는데

- 루프보다 차량들로 인한 손상 위험이 적고 검지 정보의 신뢰성이 우수한 장점이 가지고있으나

- 설치 시 노면 절개설치 및 유지 관리 시 차로 통제검지 영역 불분명 무선 사용 시 전지 수명무선 장애 발생의 단점이 있다


◦ WIM검지기

- 상대적으로 기후조건에 의한 영향이 적고 중량 자료를 제공 할 수 있는 유일한 검지 방식이며

- 첨단 검지방식 영상 검지기과의 연계에 운용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 설치 시 교통 흐름에 직접적 장애와 도로 유지보수 시 손상 우려가 있고 초기 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고 설치 지점의 도로 조건에 대한 영향을 많이 받는 단점이 있다


◦ 초단파검지기

-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검지기와 레이더의 원리를 이용한 검지기로 나눌 수 있으며 검지 대상차량에 수십Hz10GHz24GHz)의 초단파를 발사 한 후 차량에 의해 반사되어 되돌아 온 반사파를 분석하여 교통정보 파라메터를 산출하는 검지기이다

- 특징은 설치공사 시 교통흐름의 직접적인 방해가 없으며 설치가 용이하며 다차로를 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 루프에 비해 구매 설치비 많이 들며 설치 및 유지보수 시 전문 기술자가 필요하고 전자기 장애EMI) 유발을 일으키는 단점이 있다


◦ 적외선검지기

- 검지 대상에 광선을 발사한 후 반사되어 되돌아 오는 빛을 감지하여 검지 대상을 인식하는 능동형 방식과 검지 대상이 방출하는 에너지를 통해 검지 대상을 인식하는 수동형 방식의 검지기 이다

- 설치공사 시 교통 흐름의 직접적인 방해가 없고 설치시 용이하며 유지비가 저렴 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 설치와 유지보수에 전문인력이 필요하고 고가의 장비로서 포장의 빛바램에 따른 색채와 채광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단점이있다


◦ 초음파검지기

- 매질속을 전파하는 탄성 진동파인 초음파를 검지센서 매체로 이용하여 도로위의 차량에 주사하여 차량에서 반사되는 반사파를 감지하여 차량의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기 이다

- 이 검지기는 높이에 따라 차량 구분이 가능하고 설치시 노면 및 도로 공사에 무관하여 교통흐름의 직접적인 방해가 없는 장점이 있으나

- 단점으로는 구매 및 설치비 과다 방향별 차량의 검지가 어렵고 교통 정체지역에서는 정확하지 않으며 주변 환경 조건에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 영상검지기

- 카메라로 교통류의 모습을 영상화하고 이 영상에 검지 영역을 설정하여 차량의 이미지가 검지영역을 통과할 때 교통 파라메터를 측정하는 검지기 이다

- 검지 영역을 쉽게 조정 할 수 있고 다차로에서 검지가 가능하며 교통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 무선 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영상의 전송과 영상 자료의 원격 조정 기능과 교통 정보의 조정과 관리를 수행할 수 있고 타검지기와 통합이 용이하며 유고징후 검지가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이에 반해서 기후와 주야간의 우천시 오차가 발생하여 장비의 셋팅과 기술적인 컨버터동 작RS-232,RS422)을 관리하는 설치와 유지 보수시에 전문인력이 필요하고 가격이 고가라는 특성이 있다

 

적절한 지점 검지기를 선정하는데 수집 자료의 신뢰도 안정도 자료일치도 설치난이도 고장수명도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최적의 차량용 검지기를 선정하게 된다

선정된 차량 검지기를 활용한 지점 검지체계는 소통자료, 지점교통량, 속도점유율, 차두시간 및 차두거리, 대기행렬길이추정, 유고상황감지 등의 자료를 수집할 수 있지만 여행통행시간 추정이 어렵고 구간교통정보로 전환이 어려운 단점도 내포하고 있다

반응형

'교통기술사 > 10. I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버스정보시스템(Cloud BIS)  (0) 2017.02.16
차로제어시스템(LCS, Lane Control System)  (0) 2017.02.14
교통정보의 순기능, 역기능  (0) 2016.11.28
ITS 아키텍처  (0) 2016.11.25
DSRC와 WAVE  (0) 2016.11.25
반응형

 교통정보의 순기능, 역기능

 

교통정보의 순기능

- 효율적인 통행계획(출발시간 선택, 목적지 선택, 통행수단 및 경로선택) 수립

- 유고발생시 적정한 통행배분으로 교통정체 완화

- 혼잡지역우회로 유류비 절약 등 경제적 이익 및 오염물질 배출저감으로 인한 환경적 편익

- 물류분야 합리적 운송계획 수립

- 대중교통 계획수립시 교통정보 활용을 통한 배차간격의 조정

- 교통정보 제공을 위한 수집 및 가공, 전달 기술 등의 발전

- 교통이용자의 편의 증대 및 서비스 향상

 

사진출처 : http://www.etsi.org/

교통정보의 역기능

[교통정보에 대한 과도반응]

- 제공된 교통정보에 대하여 다수의 운전자가 짧은 시간 간격동안 그 정보에 반응하여 네트워크의 효용이 오히려 떨어지고, 경로변경으로 운전자가 실익을 얻지 못하는 상황을 의미

[교통정보포화]

- 소수의 운전자들에게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최적노선을 선택하기 위해 정보를 처리할 수 없거나 유용한 정보가 너무 많아서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

[통행집중]

- 같은 출발지 및 목적지를 가진 운전자라 하더라도 개인 특성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경로와 출발시간을 선택하는데 정보를 받을 경우 교통상황에 대한 인식이 비슷해지면 같은 선호를 가진 경우 같은 경로와 출발 시간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 통행이 집중되는 경우가 발생

[기타]

-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 교통정보 소외계층 발생으로 계층간 갈등 유발


반응형

'교통기술사 > 10. I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로제어시스템(LCS, Lane Control System)  (0) 2017.02.14
차량검지기(Vehicle Detection System) 종류 및 특성  (1) 2017.02.07
ITS 아키텍처  (0) 2016.11.25
DSRC와 WAVE  (0) 2016.11.25
교통정보의 순기능, 역기능  (0) 2016.03.07
반응형

 ITS 아키텍처

 

[참조 : ITS국가교통정보센터 http://its.go.kr]


국가 ITS 아키텍처의 개념

- ITS아키텍쳐는 ITS에서 목표로 하는 각종 사용자서비스를 통합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틀로서 ITS구축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ITS의 구축방향을 미래지향적으로 제시하는 작업이다.

다양한 사용자서비스 구현을 위해서는 세부적인 구축시스템이 필요하며아키텍쳐에서는 이 구축시스템의 기능적/비기능적 사항과 물리적 구성장치정보흐름 등을 정의하게 된다.

 


국가 ITS 아키텍처의 필요성

- 다수 관계자들이 필요한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도입하면, 시스템 구축 및 운영 효율성이 떨어지고, 상호 운영성이 낮아지므로 국가 차원에서 지능형 교통 체계에 대한 전체적인 틀을 제시하는 국가 ITS 아키텍처가 필요함.

 

국가 ITS 아키텍처의 역할

반응형
반응형

 DSRCWAVE

 

DSRC, 근거리 전용 통신(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 근거리 전용 통신(DSRC: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이하DSRC)은 차량과 노변 기지국간 100m 이내에서 1Mbps 급의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여 요금징수 및 교통량 수집과 정보 제공하는 네트워킹 통신기술로 현재 세계적으로 ITS 분야에 가장 많이 적용

- 전자요금징수<ETC>

- 무정차기반 자동요금지불 서비스

- Hi-pass 기반 교통정보서비스

- BIS(Bus Information Service) 서비스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

- 차량용 고속무선통신기술(WAVE : Wireless in Vehicular Environment)WAVE 통신기술은 고속(160km/h)으로 주행하는 상황에서 차량 간 통신(V2V), 차량과 인프라 통신(V2I)을 지원하여 전방 도로 및 차량의 위험정보를 긴급 전송, 후속 추돌사고 등을 예방하는 안전서비스, 다차로 무정차톨링 서비스 등 다양한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ITS) 구축에 활용할 수 있는 차량 네트워킹 기술

- 고속 주행 상황에서도 실시간으로 V2X(V2V, V2I, V2N, V2P) 통신이 가능해 전방의 도로 상황이나 차량 사고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원천기술

V2N : Vehicle to Nomadic

V2P : Vehicle to Pedestrian

V2V : Vehicle to Vehicle

V2I: Vehicle to Infra-structure

 

반응형

'교통기술사 > 10. I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통정보의 순기능, 역기능  (0) 2016.11.28
ITS 아키텍처  (0) 2016.11.25
교통정보의 순기능, 역기능  (0) 2016.03.07
Smart Tolling System, 스마트 톨링 시스템  (0) 2015.12.16
C-ITS(Cooperative-ITS)  (0) 2015.11.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