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교통기술사 기출문제 유형별 정리]

번호는 출제연도-출제회차-교시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16-110-1 2016110회차 1교시임. 


<. 교통수요>


-수요정의-

03-69-1 잠재수요(Latent demand)

06-80-1 유발수요(derived demand)

08-86-1 유발수요(induced demand)

 

-통행-

06-78 교통체계는 교통서비스를 사고파는 시장(market)이라 설명할 수 있다. 또한 교통서비스의 기본단위는 통행(trip)이라 할 수 있다.

. 통행의 구성요소를 나열하시오.

. 교통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복합수요(joint demand)’라 한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를 설명하시오.

 

-기종점통행량 OD-

04-74 행정수도 건설관련 도로를 설계할 경우 전국 사람 통행 DB를 차량 O-D로 전환 구축시 보완조사 및 구축방법을 기술하시오.

06-78 가구통행실태조사 등 직접조사로 기종점 통행량을 작성하는 방법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관측교통량으로부터 기종점 통행량을 추정하는 방법의 기본개념과 추정과정 상에 발생하는 구조적 문제점들을 설명하시오.

09-87-1 대도시권 일일OD로부터 첨두시OD 산출방법

11-95-1 P/A(Production/Attraction) 접근기법과 O/D 접근기법의 차이

12-96-1 OD자료의 전수화 및 검증방법

14-102 최근 국가교통DB에서 제공하는 OD자료 중 주수단 OD 및 접근수단 OD의 개념, 적용시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4-104 교통수요예측 4단계 분석을 위한 접근방법 중 PA접근방법과 OD접근방법을 상호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 영향권 설정, 통행정산-

06-78 교통수요분석과정에서 대상지역을 (zone)으로 세분하고, 이를 통행발생량 분석의 공간적 기본단위로 사용한다.

. 존과 "존중심(zone centroid)"의 정의를 기술하시오.

. 존 경계를 정하는 기준을 나열하고, 각 기준에 대하여 기준 설정의 논리적 근거를 기술하시오.

06-78-1 코든라인(cordon line)

11-95 교통수요 예측과정 중 세분화 필요시 죤 세분화 방법과 세부 죤간 O/D 산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1-95 교통수요 예측 시 영향권 설정방법에 대하여 도로와 철도를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16-108 장래 교통수요예측 과정에서 교통모형을 구축한 후 이 모형에 의한 통행배정 교통량과 실제 조사된 관측교통량과의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산 과정이 필요하다. 정산을 한 지점선정 방법, 필요한 자료, 허용오차 범위, 보정 방법 등을 포함한 교통량정산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6-110 철도부문의 교통수요예측 시, 영향권 설정기준 및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교통수요모형-

03-69 기존의 교통수요 추정모형과 활동중심 모형(activity-based model)의 개념과 특징을 비교하시오.

06-78 통행수요모형중 개별형태모형(disaggregate behavioral models)집단모형(aggregate models)과는 달리 이론적으로 통행자가 의사결정의 기본단위로서 자신에게 주어진 다수의 대안 중에서 좋아하는 대안을 선택한다는데 근거를 두고 있다. 결국 선택의 기준은 개인의 효용(utility)가 된다.

. 효용측정과 효용은 평가기준으로 함에 있어 경제학적 접근과 심리학적 접근의 차이가 있다. 이 차이점을 간략히 기술하시오.

. 개별행태선택모형과 집단모형의 차이점을 5가지만 나열하시오.

08-86-1 집계(aggregate) 교통수요 모형

10-90 수요예측방법 중 직접수요모형을 설명하시오.

11-93-1 직접수요 모형 추상수단모형

11-95-1 활동중심모형(Activity Based Model)

13-101 전환교통량 추정을 위한 방법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4-102-1 혼합로짓모형

14-102 교통수요예측방법 중 활동기반모형(Activity-based model) 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5-107 활동기반 모형의 특성을 4단계 모형과 비교하여 제시하고활동기반 모형화 방법론을 효용기반 접근법과 의사결정기반 접근법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15-105 교통수요예측에 있어서 4단계 모형에 대해 기술하고이 중 통행발생모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시오.

16-108-1 직접수요예측모형

 

-통행분포-

03-69 통행분포 모형으로서의 중력모형엔트로피 극대화 모형의 개념과 특징을 비교하시오.

04-72-1 교통수요 예측에 적용되는 중력모형의 단점.

05-77 중력모형을 설명하고 적용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설명하시오.

06-78 Entropy극대화 통행배분 모형은 통행배분과정(trip distribution)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 이 모형의 이론적 근거는 물리학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이론적 근거를 기술하고, 이 근거에 따라 Entropy극대화 모형의 구조를 간략히 설명하시오.

. Entropy극대화 모형의 해는 중력모형의 일반형으로 유도될 수 있다. 여기서 유도된 양편제약 중력모형을 기술하고, 저항계수(β)의 의미를 설명하시오.

. 다핵구조를 갖는 지역의 존간 통행배분을 분석하는데 있어 중력모형이 갖는 한계점을 기술하시오.

15-105 통행분포 모형 중 제약없는 중력모형 (Gravity Model) , 통행유출량 제약모형이중제약 모형에 대하여 비교 설명하시오.

 

-수단선택-

04-72 교통수요 예측시 수단별 분담과 통행배분의 모형을 열거하고, 특징을 설명하시오.

08-86 요금, 차내시간 및 차외시간의 세 가지 요소에 관한 지하철 수요의 탄력성을 비교 설명하시오.

12-98 통행단(Trip End) 수단분담모형통행교차(Trip Interchange) 수단분담모형의 배경, 특징 및 적용의 문제점을 설명하시오

13-99 수요예측 4단계 중 교통수단선택 분석방법을 집합적 접근방법개별행태적 접근방법으로 구분하고 이 두 방법의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4-104-1 통행단 수단분담모형(Trip-end Modal Split Model)의 단점

14-104 선택확률모형의 개념, 전제조건 및 기본구조와 그 장단점을 각각 설명하시오

16-108 교통수단 선택모형 구축과정에서 고려되는 선택요인들을 제시하고 다항로짓모형에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하시오.

16-110 수단선택에서 자주 언급되는 비관련 대안의 독립성(IIA, Independence of Irrelevant Alternative Property)이란 무엇이며, Logit Model에서 어떤 잠재적 문제점으로 작용 하는지와 극복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6-110 수단분담 모형에서의 교통수단 선택요인과 모형별 장·단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통행배정-

04-74 교통량 배정(Assignment) 기법들을 제시하고 각각의 배정과정을 설명하시오.

06-78 이용자 평형(user equilibrium)체계최적(system optimality)의 차이점을 설명하고, 혼잡이 적은 지역간 도로에 대한 통행배정 시 확정적 통행배정확률적 통행배정 중 어느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합리적인지를 설명하시오.

06-80-1 결정적모형(deterministic model)확률적모형(probabilistic model)

07-81 통행배정모형의 종류별 특징 및 장단점에 대하여 논하시오.

08-84 통행배정모형에서 정적모형동적모형의 특성을 비교하고 동적모형의 장단점 및 활용의 한계성에 대해 기술

09-87 통행배정(trip assignment)에서 자주 사용되는 BPR함수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 함수가 KTDB 도시부 단속류 도로망에 적용될 때, 교차로 지체를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설명하시오.

10-92 워드롭(Wardrop)2가지 통행경로 선택원리와 특징을 설명하고, 이용자균형(user equilibrium) 통행배정에서 적용되는 기본가정을 설명하시오.

11-93 통행배정(Trip Assignment) 모형의 종류와 특성 및 통행배정 모형에서 사용하는 BPR 공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3-99 통행배정모형 중에서 이용자 평형모형체계최적모형을 비교하고 두 모형의 문제점을 설명하시오, 그리고 다음과 같은 가상의 네트워크에서 이용자평형과 체계최적평형의 교통량 및 통행시간을 산정하고, 산정결과에 나타난 두 모형간 차이를 설명하시오.(계산문제 포함)

14-102 대중교통 통행배정방법 중 하나인 최적전략(Optimal strategy) 방법 및 이 방법의 문제점을 설명하시오

 

-화물수요-

08-86 승객교통수요에 비해 화물운송수요를 보다 쉽게 분석할 수 있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시오.

12-98 화물수요예측방법과 화물수요추정 모형의 한계를 설명하시오

13-99 도시화물수요모형 중 화물자동차 통행기반모형과 투어기반모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수요예측오차, 문제점, 개선방안-

04-74 SOC민자 사업의 경우 교통수요 예측 관련 문제점 및 개선대책을 논하시오.

04-74 철도 신설시 교통영향 평가 과정에서 교통 수요예측을 하는 경우 전통적인 4단계 수요추정법의 한계 등 현업에서 부닥치는 문제점에 대해 기술하시오.

05-77 전 수요예측 교통량과 사후 관측 교통량의 오차발생 원인과 대처방안을 설명하시오.

06-78 전통적 4단계 수요추정방법의 기본 가정과 이같은 가정으로 인한 문제점을 설명하시오.

06-80 통과통행(pass-by trip)과 복합용도개발(mixed-use development)을 간략히 설명하고 이들이 통행발생분석 측면에서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시오.

08-84 택지개발사업 등 복합 용도의 사업에 대한 교통영향평가시 원단위법에 의한 발생교통량 산정과정을 기술하고, 원단위법이 갖고 있는 한계점과 발생교통량의 중복계산을 배제하기 위한 방안을 기술하시오.

09-87 도로사업의 교통수요예측에 있어서 발생 가능한 주요 오차4단계 교통수요예측의 각 단계별로 설명하고 개선방안을 논하시오.

10-90 교통수요예측과정 중 통행배정단계에서 추정교통량과 현황교통량간의 오차가 발생할 경우 이에 대한 이유와 개선방안 등에 대하여 논하시오.

11-95 교통수요 예측과정 중 통행발생 모형의 검증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2-96 국가교통DB의 개요와 이를 활용한 교통수요예측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 및 정확성 제고방안에 대해 설명하시오

12-98 교통수요 예측기법 중 통행발생에 대해서 기술하고 귀하여 경험을 위주로 적용상의 문제점 및 고려하여야 할 사항들을 설명하시오

14-102 수도권에서 이용되는 교통카드자료의 구성내용 및 활용성, 교통수요예측에 적용시 한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4-104 교통수요 추정 결과의 신뢰성 문제가 사회적 논란이 되고 있다. 수요추정 교통량과 실제교통량 간의 차이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과 그 해결방안을 설명하시오.


교통기술사 기출문제 유형별 정리_Ⅱ. 교통수요.pdf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