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기술사 기출문제 유형별 정리]
번호는 출제연도-출제회차-교시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16-110-1 는 2016년 110회차 1교시임.
<Ⅹ. ITS>
-버스-
03-69-1 버스관리체계(bus management system:BMS)와 버스정보체계(bus information system:BIS)의 차이점 비교
11-93 BMS(Bus Management System)의 구성요소와 요소별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ITS개념, 아키텍쳐-
04-72-1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의 서비스 분야와 효과
05-75 ITS Architecture란 무엇이며, ITS Architecture의 필요성에 대해 논하시오.
07-81 ITS사업의 효과척도(MOE)와 효과분석 방법에 대하여 논하시오.
07-83 ITS아키텍처의 기능에 관하여 설명하고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논하시오
10-90 녹색교통체계 활성화를 위한 ITS의 역할에 대하여 논하시오.
10-92 첨단교통체계(ITS)에서 제공하는 교통정보의 순기능과 역기능을 논하시오.
16-108 국가 ITS 아키텍쳐에서 정의한 ITS 서비스 분야의 7개 항목의 특성을 설명하고, 하부시스템과의 연관성을 설명하시오.
-텔레메틱스-
03-71-1 텔레마틱스(Telematics)
06-78-1 텔레메틱스(telematics)
07-81 Telematics가 교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논하시오.
14-102-1 커넥티드카(Connected car)
-ITS시스템-
03-69 교통정보 수집체계를 지점검지 체계, 구간검지 체계, 정상적 수집체계를 목적, 내용, 장치, 특징 측면에서 비교하시오.
03-71 ‘무인 교통단속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시오.
04-74-1 간선도로 돌발상황관리 시스템
06-80 U-transportation의 정의 및 U-transportation 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내용을 설명하시오.
07-81 도로전광표지(VMS)의 설계를 위한 일련의 절차를 나열하고 각 절차별로 고려할 사항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09-87-1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09-89-1 VII(Vehicle Infrastructure Integration)
09-89-1 U-LBS(Ubiquitous-Location Based Service)의 기반기술
10-90-1 IGCS(Intelligent Grade Crossing Control System)
10-92 ITS운용에 따른 교통사고 감소효과를 교통사고 사전 노출, 교통사고 위험 회피 및 교통사고 피해 정도 측면에서 논하시오.
11-95-1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s)의 특성 및 활용도
12-98 최근 논의되고 있는 교통부문에서의 융합기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3-99 ITS를 활용하여 교통조사와 교통수요모형을 개선해서 수요분석의 신뢰도를 제고하는 방안을 설명하시오
14-102-1 C-ITS
14-102-1 LBS(Location Based Service)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14-104 여러 관련법에 근거하여 ITS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과 향후 ITS사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을 설명하시오.
16-108-1 유시티(U-City)와 유교통체계(U-Transportation)
'교통기술사 > 01. Rea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통기술사 기출문제 유형별 정리_<Ⅻ. 교통조사 및 통계> (0) | 2017.01.10 |
---|---|
교통기술사 기출문제 유형별 정리_<Ⅺ. 교통사고, 안전> (0) | 2017.01.09 |
교통기술사 기출문제 유형별 정리_Ⅸ. 주차 (0) | 2017.01.05 |
교통기술사 기출문제 유형별 정리_<Ⅶ. 자전거 및 대중교통, 보행> (0) | 2017.01.03 |
2017년 기술사 시험일정 및 종목별 시행회 (0) | 2016.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