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관계수
상관계수는 두 변수간의 상관관계의 강도를 표시하는 수치로서 회귀선이나 회귀방정식에 의해 서 X와 Y를 훌륭하게 예측할 수 있으면 그 값이 커지고, 예측오차가 커지면 그 값이 작아진다. 결정계수(r2)의 제곱근을 구하여 프러스(+)와 마이너스(-) 중 적당한 부호를 붙이면 상관계수 를 구할 수 있다. <서식> 상관계수는 일반적으로 r로 표시하고 아래 공식에 의해 산출된다.
■ 산업연관표
산업상호간의 의존관계를 메트릭스형으로 정리 조합해 놓은 표를 산업연관표라 한다. 투입산 출표(input-output table)라고도 부른다. 투입산출표는 각 산업이 상호 구입하는 양을 보여줌으 로써 어떠한 투입을 각 산업에서 필요로 하며 또는 각 산업의 생산물을 다른 산업과 최종 소비 자들간에 어떻게 배분할 것인가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투입산출표는 국민경제의 추세와 기술의 변화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가능하게 할 수 있다.
■ 교통사고구분
교통사고는 피해의 경중과 사고장소, 종별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구분한다. 1) 피 해의 경중(經重)에 따라서 사망사고, 중상사고, 경상사고, 부상사고, 물건피해. 2) 장소에 따라 서 노상사고와 노외사고(路外事故) 3) 종별에 따라서 충돌사고, 전복사고, 추락사고, 추돌사 고 등으로 구분한다.
■ 비집계모델
교통행동의 주체인 개인의 행동분석에 따른 수요예측 모형의 일반적 명칭. 죤 단위의 집계량 < 개인의 교통 행동을 죤으로 다룬 것>에 의한 집계모형과 다르고 비교수단간의 개인별 효용함 수치를 구하여 어떤 수단이 선택된 확률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소수의 표본으로 분석예측이 가 능하다.
■ 비용편익비(B/C)
편익ㆍ비용비는 편익을 비용으로 나눈 비율의 결과가 가장 큰 대안을 선택하는 방법이다. 편익 ㆍ비용비는 현재가치로 환산된 편익ㆍ비용비로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장래에 발생되는 편익과 비용을 현재가치로 환산하기 위해 할인율이 필요하게 된다. 편익의 현재가치 비용의 현재가치 편익ㆍ비용비는 교통사업의 절대적인 규모에 대해서는 고려가 불가능하므로 서로 다른 상호배타적인 교통사업을 이 기법으로 평가하면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있다.
■ 비용편익분석(cost-benefit analysis)
교통계획 등에 있어서 교통사업대안의 집행에 필요로 하는 비용과 그것에서 얻어지는 편익을 화폐로 환산하여 비교ㆍ평가하고 대안의 채택여부 또는 우선순위 등을 검토하는 방법이다. 비 용과 편익은 장래 시점에 걸쳐 발생하는 것으로 현재가치로 환산하여 양자의 비율 또는 차를 가지고 평가기준으로 삼는 것이 일반적이다.
■ 분산분석
표본의 편차제곱합(분산) 및 자유도를 실험대상으로 하여 몇 개의 특성으로 나누어 통계적 변 수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분산분석은 집단내부에 있는 개인간의 차이와 집단간의 평균의 차이 를 비교함으로써 과연 집단간의 차이가 두드러지느냐를 밝히려는 방법으로 변량분석 또는 ANOVA라고도 한다.
■ 분담율 곡선
교통계획에 있어서 교통수단별 통행수를 예측하는 모형에서 교통수단별 분담비율을 나타내는 곡선을 분담율 곡선이라 한다. 예를 들면 OD 죤간의 통행시간 또는 통행비용을 토대로하여 2 개의 교통수단의 비 혹은 차를 횡좌표로 하고 종좌표로는 양자를 합한 양 중 몇 %가 당해 수단 에 의해 분담되는가의 비율(분담율)을 나타낼 때의 곡선이다. 주로 현황조사 결과치를 기준으 로하여 수정한 것을 이용하며 선택율 곡선이라고도 한다.
■ 방음벽
음원(소리의 발생원)과 수음점(受音點: 소리를 듣는 곳)사이에 설치하여 소리가 직접 수음점 에 전달되는 것을 막고 소음의 감쇠(減衰)를 위해 설치된 벽을 말한다. 소리는 이 방음벽에 의 해 수음점에 직접 도달하지 않고 회절(꺽임)하여 도달하기 때문에 감쇠한다.
■ 물자유동조사
물자의 유통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로 물류조사라고도 한다. 트럭, 철도, 선박 등 물자의 수 송주체마다 조사에서는 물자의 최종적인 발착지가 파악되기 어렵고 또 동일물자가 다른 부수 의 수송수단으로 운반되면 중복산정(double count) 되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물자의 하송 인 또는 하수인에 대하여 물품의 품목, 중량, 발착지 등을 조사하는 것이다.
■ 로우리 모형
1960년대 초기에 교통학에 커다란 공헌을 한 모형으로서, 이 모형은 토지이용과 교통체계간의 관계를 상호 관련성에 입각하여 법칙성을 찾아보려는 것이다. 실제로 토지이용은 교통네트웍 에 의해서 변화하며, 교통네트웍 역시 토지이용에 따라 변화하므로 양자가 정합성을 가지도록 배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램프
교차로의 입체교차 및 인터체인지 등에서 그 구성요소가 교차하는 본선에 진입하도록 이것들 을 연결해 주는 것을 램프(연결로)라고 한다. 램프는 일반적으로 가장 외측의 차선에 장치하 는 것이 원칙이다. 사고 빈도의 측면에서 오르막 비탈길의 중간이나 정상이라든가 보조차선이 있는 램프는 사고 빈도가 낮지만, 내리막 비탈의 도중이나 凹부에 있는 램프는 높은 사고빈도 를 보이고 있다.
■ 등화
① 신호기의 등화 신호기가 표시하는 신호를 구현하기 위한 전등이 발하는 빛.
② 수신호의 등 화 경찰관 등이 수신호 등에 의한 교통규제를 행하는 경우에 이용하는 전등이 발하는 빛.
③ 차 량등의 등화 차량 등이 야간 주행시 전조등, 차폭등, 미등 등의 전등이 발하는 빛.
■ 등시간 원칙
죤간교통의 경로배분에 있어서 사용되는 원칙의 하나로서 「출발지와 목적지 죤간에 존재하 는 이용 가능한 경로 가운데 실제로 이용되는 경로들의 통행시간은 동일하고, 이용되지 않는 어떤 경로의 통행시간 보다 적다」고 하는 원리을 말한다. Wardrop의 제1원리라고도 부른다. 이 상태는 새로운 경로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개인의 통행시간을 감소시킬 수 없는 평형상태 를 말한다.
■ 등시간 배분법
등시간 원칙에 따른 경로별 노선배정(assignment)의 일반적 명칭이다. 엄밀해법과 근사해법 으로 구별되고, 전자는 1A법, 후자는 분할배분법이 대표적인 모형이다. 분할배분법은 OD 교통 량을 3~10으로 분할하여 Q-V곡선 등에 의한 링크의 용량제약에 의해 죤간의 최단경로의 변화 가 실제에 근사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 도로의 관리
일반 교통을 위한 공공시설로서의 도로를 유지하고 도로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행하는 일체의 업무를 말한다. 도로법에 있어서는 노선의 지정, 인정이후의 행위를 도로의 관리로서 규정하고 있고, 도로의 신설, 개축, 유지, 수선, 재해복구, 그 외의 관리가 모두 포함된다.
■ 도로미화법
미국에서 1965년에 제정한 법률로 도로용지양쪽 200m의 범위내에 있는 간판과 광고설비를 제 거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300m의 범위내에 있는 폐기물 집적장을 차단하고, 철거를 규정한 법. 국가에서 주에 대한 보조금 중 적어도 3%에 상당하는 금액을 조경 및 경관향상 등에 지출 하도록 하는 것 등을 규정하고 있다.
■ 도로교통센서스
일본에서 도로교통의 현황을 파악하고 장래의 도로정비계획의 입안에 자룔로 이용하기 위해 건설성, 지방 공공단체, 도로 관계공단이 1928년 이후 3~5년 주기로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 는 교통량 및 도로현황조사. 때로는「도로교통 정세조사」라고도 부른다.
■ 단말교통
복수의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하나의 목적통행을 행할 경우에 이용거리와 시간에 비추어 볼 때 주요한 수단(대표수단)에 부수하는 교통, 즉 주교통수단의 수단통행에 부수한 2차적 통행을 단 말교통이라한다. 예를 들면, 철도이용의 경우 역까지의 버스와 자전차, 도보에 의한 통행과 같 은 것으로서 2차교통, 접근교통이라고도 한다.
■ 단독다단제어
단독제어에 있어서 정주기 제어의 일종으로 교차점 각접근로 교통량의 시간변동에 대응하여 미리 신호제어 파라메타(cycle길이, split)의 조합을 여러 개 설정하고, 정하여진 시각에 자동 적으로 하나를 선택하여 신호제어를 행하는 방법을 말한다. 다단정주기제어라고도 하며 하나 만의 신호제어 파라메타의 조합으로 제어할 경우(일단정주기제어)에 비하여 교통량의 변동에 감응하여 효율좋은 신호제어를 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 단계시공
당초에 계획된 모든 공사를 시공(건설)하는 것이 아니고, 처음에는 그 일부를 시공(건설)하고, 1차 시공 휴 교통량 등의 조건변화에 따라서 나머지 공사를 하는 시공방법을 단계시공이라 한 다. 도로단계시공(건설)에는 장래 6차선의 경우를 당초는 4차선으로, 장래 4차선의 경우를 당 초는 2차선으로 시공(건설)하는 방법 등이 있다.
■ 노선유도
운전자에게 노선의 선택을 지시하고 보조하는 것이다. 노선유도의 수단으로서는 운전자가 라 디오방송, 전화안내, 도로교통정보판 등을 통하여 정보를 입수하고 노선선택의 판단을 하는 경 우와 전용의 차량부착기에 의해 목적지까지의 노선을 지시하여 유도하는 경우가 있다.
■ 노면부정
노면에 생긴 요철을 말한다. 노면부정에는 포장의 문제, 교통 개방후의 지반의 부등침하, 콘크 리트 포장의 목지와 교량의 취부부분의 단차 등이 있다. 그리고 포장표면을 의도적으로 조면 을 한 경우, 노면의 요철은 texture라하여 구별하고 있다
■ 내생변수
교통수요추정이나 교통현상을 모형화시키는 모형에서 교통체계내에서 도출되어 모형의 변수 로 이용할 수 있는 변수을 내생변수라 한다. 반면에 교통체계 외에서 변수가 설정되어 수치가 외생적으로 주어지는 변수를 외생변수라고 한다. 계량경제분석 모형상에서 밖에서부터 주어지 는 변수를 외생변수라 하고, 모형의 방정식 체계내에서 결정되는 변수를 내생변수라고 한다.
■ 긴급자동차
소방용 자동차, 구급용 자동차 그 외의 법령이 정하는 자동차로 당해 긴급 용무를 위해 법령에 정해진 규정에 따라 운행하는 것을 말한다. 긴급자동차는 사이렌을 울리고, 적색 및 녹색의 점 멸등을 설치하며, 또한 긴급용무를 수행하기 위해 도로교통법상 통행의 우선권이 인정되고 있 다.
■ 기여율 또는 결정계수
결정계수는 추정된 회귀선이 관찰값에 얼마나 적합한가를 측정할 수 있는 측도로 R^2로 표시 하고 R^2=1- 오차의 제곱합/총제곱합 으로 계산 하는데 R^2는 0보다 크거나 같고 1보다 작거 나 같다. R^2가 1에 가까우면 X와Y의 상관관계가 높고 1에 가까우면 X와Y의 상관관계가 낮아 진다. 회귀분석에 있어서 중상관계수의 자승 혹은 피설명 변수의 편차제곱의 합중에서 회귀식 에 의해 설명되는 편차제곱 합의 비율을 말한다.
■ 기능식수
도로에 있어서 어떤 명확한 기능을 설정하여 그것을 이루기 위해 행하여지는 식수를 말한다. 그 기능으로서는 크게 나누어 교통공학적 기능(주행심리의 안정, 휴식 등 교통공학적 요구에 따른 것), 경관조성기능(경관수리 등 경관조성을 목적으로 하는 것), 환경제어기능(방음, 침 식, 예방 등 환경제어의 목적을 가진 것) 등이 있다.
■ 기ㆍ종점표
기점(출발지점)과 종점(도착지점) 교통량을 모형으로 표시한 것으로 세로 I 가로 j의 수치는 교 통유출죤 I에서 유입죤 j로의 통행수의 양을 나타낸다. 기ㆍ종점표에는 4각표와 이것을 집약한 3각표가 있다. 전자는 Tij≠Tji일 경우, 예를 들면 교통목적별 기ㆍ종점표로 이용될 수 있다.
■ 근린주구
미국의 Perry 등에 의해 제안된 수천명에서 1만명 정도의 인구를 수용하는 주택지의 계획단위 이다. 간선도로에 의해 둘러싸인 주구의 내부에 대소의 가로를 단계적으로 배치하고 중심부에 공공건물시설을 모으고, 공원과 상점 등을 분산시켜 배치하도록 하며, 주로 도보의 범주내에 서 학교, 쇼핑센터, 레크리에이션 등의 일상생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의도하여 계획한 주택 단지.
■ 구배
도로의 경사를 말한다. 즉 도로 지층의 면이 수평면과 어긋나는 각도의 정도를 말하는데, 도로 의 수평선상에 연하는 길이에 대한 하향각도 또는 상향각도를 종단구배라 하고, 도로가 옆으 로 수평을 이루고 있지 않는 경우를 횡단구배라 한다. 구배와 관련하여 구배저항은 자동차가 언덕길을 오를 때 생기는 저항으로 중력이 노면에 평행한 분력으로 표시된다.
■ 교호 옵ㆍ셋
옵ㆍ셋(offset)의 설정방법 중 하나로 연동화된 신호체계상에서 진행방향에 대하여 교호로 녹 색신호와 적색신호가 표시되는 것과 같이 인접교차로 신호기의 옵ㆍ셋을 0%와 50%로 설정하 는 방법이다. 이 방식은 각 교차로간의 거리가 같고, 그 거리가 설계속도×신호주기의 반이 되 는 경우에 유효하다.
■ 교통조사
사람과 차량의 도로교통에 관한 각종 조사의 총칭. 교통량, 속도, 밀도 조사를 비롯해서 주차조 사, 기ㆍ종점조사 등 교통류의 현상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부터 교통수요의 실태를 광역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까지 포함하여 최근에는 환경문제에 관련하여 교통공해의 조 사도 넓은 의미에서 교통조사로서 취급되고 있다.
■ 교통용량
통상적인 도로나 교통조건하에서 일정한 시간중에 한 방향의 교통량을 처리할 수 있는 최대 통 행량. 1965년에 출간된 미국의 도로교통용량편람(Highway Capacity Manual)에서는 도로의 교통용량(capacity)을 기본교통용량, 가능교통용량 및 실용교통용량의 3가지로 구분하여 정의 하고 있으나 1985년에 발표된 새로운 도로교통편람에서는 도로의 서비스 수준이란 개념을 적 용하여 도로형태에 따른 최대교통량을 나타내는 교통용량과 몇 개의 서비스 수준에 있어서의 최대교통량으로서 서비스 교통량을 나타내고 있다.
■ 교통신호제어기
교통신호기를 구성하는 시설의 하나로 신호등기의 점멸을 설정된 신호표시 방식에 따라 제어 하는 전기설비. 기능구성은 주로 수동동작, 자동동작, 섬광동작으로 구성되고, 자동동작은 단 독 정주기 동작외에 신호표시 방식에 응하여 감응동작, 연동동작 등이 적절히 부가된다.
■ 교통신호제어
신호기에 의해 교통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어방식에는 미리 정하여진 시간배열(time- schedule)에 따라 신호제어를 하는 것과 변동하는 교통량을 측정하면서 신축성 있게 신호제 어를 하는 것이 있다. 또 제어범위로는 단독제어, 연동제어(連動制御), 면제어, 지역제어로 분 류한다.
■ 교통신호등기
교통 신호기를 구성하는 기계의 하나로 차량 및 보행자에 대하여 신호를 표시하기 위해 등상 (燈箱), 렌즈, 반사경, 전구, 후드, 배면판(背面板), 지지기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렌즈의 배 열은 횡형(橫形)의 경우 우측에서부터 적색, 황색, 녹색의 순이고, 종형(從形)의 경우 위로부 터 적색, 황색, 녹색의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 교통수요예측
장래 교통수요의 패턴과 양을 예측하는 것을 의미한다. 교통계획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다. 장래의 도시 활동에 관계되는 사회, 경제 지표의 추계 및 도시정책을 반영하고 사람 및 물자의 교통수요의 공간전ㆍ시간적 분포를 교통 수단별로 파악한다. 이것에 따라 교통시설계획을 작 성한다. 사람 교통의 경우 통행발생, 통행배분, 수단선택, 노선배정의 4단계로 나누어 예측하 는 것이 통례이다.
■ 교통수단선택모형
교통계획에서 교통수단분담 예측모형의 하나로서 통행자의 속성(요소)에 의해 일정한 교통수 단을 선택한다는 논리에 입각하고 있다. 1970년대 중반가지만 해도 구미에서는 전통적인 교통 수단 선택모형이 적용되어 왔으나 그 이후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행태선택모형(behavioral choice model)의 구조적인 장점 때문에 앞으로 행태선택 모형이 여러 가지 교통연구에 활용 될 전망이 크다. 또한 행태선택모형 자체로서 단기적인 교통정책의 실효성을 타진할 수 있어 점차적으로 실무에 적용되리라 본다.
■ 교통섬
차마의 안전하고 원활한 교통처리나, 보행자의 도로횡단 등 안전한 보행을 위하여 교차로 또 는 차도의 분기점, 넓은 도로안 등에 설치되는 섬 모양의 시설을 지칭하며, 보통 연석 등으로 둘려 쌓여 높게 되어 있고, 그 기능에 따라 유도섬, 분리섬, 안전섬의 3종류로 분류한다. 교차 로내에 있어서는 중앙분리대 또는 외측분리대도 교통섬으로 볼 수 있다.
■ 교통사고사상율
사고율의 일종으로 다음과 같이 정하고 있다. 당해도로구간의 1년 동안의 교통사고 사상율 = 교통사고에 의한 사상자 수 해당도로구간에 당해도로 서의 자동차 및 × 365 × 구간의 원동기 부착 자 연장 전차의 교통량 (단위 km)
■ 교통사고기록부
종합적인 교통안전 대책을 추진하는데 필요한 사고실태의 기초자료를 정확히 수집하고, 기록 하기 위한 기록부. 기록부의 조사항목은 사고의 발생장소, 일시, 사고종별(사망, 중상, 경상사 고), 사고유형, 기본적인 항목 및 당해 사고의 관련자(제1당사자, 제2당사자)에 걸친 사항이 다.
■ 교통빈곤층
경제적, 신체적 혹은 사회적 제약에 의해 자동차 이용이 곤란한 사람들을 의미한다. 예를들면 저소득층이기 때문에 자동차 소유가 불가능한 사람, 고연령, 어리기 때문에 자가용차를 운전 할 수 없는 사람, 신체장애자 등이다. 빈곤의 정도는 자가용차의 대체수단 특히 버스 등의 대중 교통 서비스 수준에 의존한다.
■ 교통기관
사람 또는 물건을 운반하기 위한 육상교통기관(자동차, 자전차, 철도, 궤도), 해상교통기관(선 박, 잠수함)및 항공기 , 우주선의 총칭으로 탈 것을 말하지만 벨트콘베이어와 파이프라인도 포 함하기도 한다. 또 여객에 관해서는 보행자 그 자체도 교통기관(수단)이라 생각할 수 있다.
■ 교통공해
광의로는 교통에 수반되어 생기는 환경의 오염에 의한 사람의 건강 또는 생활환경에 걸쳐 피해 가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협의로는 도로교통 공해로 법률상에는 도로의 교통에 기인하여 일어 나는 대기의 오염, 소음 및 진동이 사람의 건강 또는 생활환경에 걸쳐 피해가 생기는 것을 말한 다.
■ 공유재
국방, 경찰, 소방 등의 서비스와 같이 그 사회의 모든 사람들에 의해 공통적으로 취급되는 것으 로(등량소비:等量消費), 특정 개인의 소비가 타인의 소비와 경합하는 것이 아니고 (비경합성: 非競合性), 누구도 그 소비로부터 배제되어지는 일이 없는 (비배제성:非排除性)특성을 갖는 재 화나 서비스를 의미한다.
■ 고속전철
흔히 Metro라고 일컫는 지하철을 지칭하며 4~10개의 차량으로 연결 운행되는 고속전철시스템 으로 도심지에서는 일부 또는 완전히 지하의 전용차선으로 운행되는 도시전철로서 정류장을 갖고 있다. 운행의 최소단위는 몇 대의 차량으로 되어 있으며, 시간당 20,000명 미만의 운행량 으로는 부적당하고 25,000명 이상일 때 적당하다. 기록상의 최대운행량은 New York시의 시간 당 72,600영이나 대개 시간당 편도 5만명을 지하철의 용량으로 본다.
■ 고속도로
자동차의 고속주행에 적합하도록 축조된 도로로 다음과 같은 조건을 구비한 것을 말한다. 1) 자동차만의 통행에 한한다. 2) 출입은 인터체인지만으로 한한다. 3) 원칙적으로 2차선 이상의 차선을 갖는 분리도로이다. 4) 다른 도로나 철도와는 완전입체교차로 되어 있다. 5) 자동차의 고속 주행에 적합한 선형으로 되어 있다.
■ 계획수준
도로의 계획에 있어서 그 도로의 성격 및 중요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교통에 대한 서비스의 정도를 말한다. 예상되는 연간최대시간 교통량이 가능교통용량을 넘지 않는 상황을 계획수준1 로 하고, 년간 30번째 시간 교통량이 가능교통량과 같은 상황을 계획수준 3으로 하고 그 중간 을 계획수준 2로 하고 있다.
■ 경제성분석기법
경제성분석기법은 어느 교통사업의 능률성 혹은 효율성(efficy)을 평가하는데 적용되는 방법으 로서 효율성을 달성하기 위해 고려된 여러 대안 중에서 가장 우수한 대안을 택하기 위한 사전 분석방법에 많이 사용되고, 간혹 특정한 교통정책이 실시되고 난후 투입된 비용과 편익을 비교 하여 교통사업투자가 가치있게 쓰여졌는가 하는 것을 사후에 평가해 보는 방법으로도 사용된 다. 경제성분석기법으로는 편익ㆍ비용분석법의 구체적인 평가기법으로 편익비용비, 초기년도 수익율, 순현재가치, 내부수익율이 있다.
■ 경전철(經電鐵)
경전철은 전력에 의해 운행되는 다양한 전철 시스템을 지칭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정의 가 애매모호하다. 경전철은 궤도나 타 차량과 함께 도로를 운행하는 트램이나 노면전차와 같 은 유형으로부터 지하철로의 전환을 염두에 두고 건설되는 예비지하철시스템(pre-metro system)에 이르기까지 실로 다양하다. 시간당 수송량은 9,000~18,000명에 달한다.
■ 경사완화
경사면의 구배를 수경상의 이유로 토질공학적 조건에 의해 정하는 구배 보다 느슨하게 하여 성 토를 하는 것을 말한다. 인터체인지, 서비스 지역 등의 램프 내측에 적당히 흙을 쌓아서 하나 의 느슨한 사면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말한다.
■ 가속저항
자동차의 가감속시에 생기는 관성저항을 말하고, 차체의 가속에 의한 저항(자동차의 질량에 가속도를 곱한것)과 엔진으부터 차바퀴에 이르는 회전부분의 가속에 의한 저항을 합한 것을 가속저항이라 한다. 회전 부분의 저항은 자동차의 질량이 증가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므 로 자동차의 질량증가분으로 표시한다.
■ 가속성능
자동차의 가속도에 관한 성능. 어느 속도에서 일정한 속도에 달하기까지의 시간에서 얻어지는 평균가속도 또는 간단히 그소요시간에 의하여 표시된다. 또는 정지상태에서 발진, 가속, 소정 의 거리를 주행함에 필요한 시간으로 표시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정지상태에서 400m 혹 은 1km 주행함에 필요한 시간(초)으로 표시한다.
■ TSM(Transportation Systems Management)
TSM 이란 기존시설의 효율적 운영과 관리를 목적으로 하고 단기적·저투자의 교통개선 방안이 다. TSM은 적은 비용 투자로 단기적 편익 발생이 발생하고 기존시설 및 서비스의 효율적인 활 용이 가능하다. TSM은 도시교통체계의 양적인 면보다 질적인 면 강조하고 규모면에서 지역 적, 미시적 요소를 고려한다.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투자사업의 보완으로서 고투자사업의 대치 가 가능하고 차량보다는 사람의 효율적 움직임에 중점을 둔다.
■ Transit 과 Paratransit(대중교통과 준대중교통)
대중교통수단(Transit)이란 버스, 지하철과 같은 대량수송 수단으로서 일정한 노선과 스케줄 에 의해 운행되는 교통수단을 의미한다. 준대중교통수단(Paratransit)은 자가용 승용차와 대중 교통수단의 중간에 위치하면서 고정적인 운행스케줄이 없고 승객이 서비스에 대한 요금을 지 불하는 교통수단으로 택시를 비롯하여 인력거에서부터 4륜차까지 다양하다. 미국, 캐나다 등 지에서는 콜택시(dial & ride)와 합승(shared ride)도 준대중교통수단이라 한다.
■ CVO(화물운송 시스템) 및 APTS(대중교통 정보 시스템
CVO(Commercial Vehicle Operation)란 화물정보센타에 설치된 컴퓨터로 각 화물차량의 위 치 및 운행상태를 관제실에서 자동파악하고 실시간으로 최적 운행지시를 함으로서 물류비용 을 절감하여 국가경쟁력을 증진시킨다. APTS(Advanced Public Transportation System)란 대 중교통 운영 시스템을 정보화함으로서 이용자의 편익을 극대화하는 시스템이다.
■ AVCS(Advanced Vehicle Control System : 차세대 도로 및 차량제어 시스템)
AVCS는 ITS 분야 중 주로 차량의 지능화 및 자동화에 관한 분야로 지난 수십 년간 비약적으 로 발달한 첨단제어기법을 차량에 응용하여 차량운행에 있어서 운전자 역할의 일부 또는 전체 를 자동화하고자 하는 시스템이다. AVCS는 차량운행의 자동화를 통하여 ITS의 기본 목적인 차량 운행의 안전성 증대, 교통 흐름의 원활화, 교통사고로 인한 인적 물적손실을 최소화, 그리 고 각종 물류비용의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 ATIS(Advanced Traveller Information System : 도로 교통정보 시스템)
ATIS란 교통여건, 교통상황, 교통규제상황 등 정적 및 동적인 교통관련 정보를 FM 다중방송 (RDS) 또는 차량에 장착된 모니터 등을 통해 운전자에게 제공하여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최단경로와 소요시간, 주차장 상황 등 운전자가 필요로하는 정적 및 동적 교통정보를 신속, 정 확하게 파악하여 차량의 안전, 원활, 쾌적한 이동을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 고속도로관제체계(FTMS : Freeway Traffic Management System)
FTMS란 고속도로를 통행하는 차들의 속도와 교통량을 파악해 교통 이용자에게 신속하고 효 과적인 교통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을 말한다. 높은 도로용량과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 의 흐름과 함께 가로망 개념보다는 선적개념이 우선하며 특히 빠른 교통정보의 전달이 필요하 다. 따라서 대상구간의 교통 및 기하구조 등의 여건에 따라 교통변화를 빠르게 예측할 수 있는 기법이 요구된다.
■ 도시교통관제체계(UTCS : Urban Traffic Control System)
도로의 이용율이 극대화되도록 통행수요를 공간적, 시간적으로 최적배분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도로교통 현황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도로이용율이 극대화되는 최적 교통제어전략을 수립한 후 이들 정보를 다양한 통신매체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정확하게 전달하는 체계이다.
■ ATMS(Advanced Traffic Management System : 도로 교통관리 시스템)
ATMS란 도로에 교통량, 차량속도, 지체상태, 차량특성(차량번호, 중량)의 교통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여, 도로교통 상황을 실시간(Real Time)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도 로교통관리와 효율적 최적신호체계를 구현하며 여행시간 측정, 사고상황 파악, 통행요금 징 수, 과적차량 단속 등의 업무를 자동화하는 체계이다.
■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첨단교통시스템(ITS)은 교통안전 증진, 교통정체 감소, 이동 서비스의 강화, 환경공해 감소, 에 너지 절감, 생산성 제고 등을 도모할 수 있는 미래의 교통 시스템이며 도로교통만이 아니라 철 도, 해운, 항공 등 다른 교통수단과의 연계를 통한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고 적용대상 범위를 확대시키는 폭넓은 의미의 첨단교통시스템(ITS)으로 개념이 바뀌고 있다. ITS의 서비스 응용 분야는 첨단 교통관리 시스템(ATMS), 교통정보 시스템(ATIS), 상업차량 운영 시스템(CVO), 차세대 도로 및 차량제어 시스템(AVCS), 대중교통정보 시스템(APTS) 등이 있다
■ 회전규제
교차로 회전규제는 교차로에서 차대차, 차대인의 상충이나 마찰회수를 줄여 사고발생 가능성 을 줄이며, 차량지체를 줄이고, 용량증대를 목적으로 한다. 규제방식의 종류는 교통량이 적은 교차로에서 비보호좌회전 허용, 교통량이 많으면서 좌회전 교통량이 많을 경우 보호좌회전 허 용이 있다. 회전금지는 교차로에서 그 효과를 분석한 후 시행함이 바람직하다. 좌회전금지는 교통량이 많은 도심교차로에서 사용하며 대체도로의 확보와 파급효과를 고려하여 시행한다.
■ 통행교차 모형(Trip Interchange Model)
통행배분과 함께 사용되기 때문에 통행이 배분된 상태에서 교통수단의 서비스 특성에 의해 교 통수단 선택을 추정하는 모형이다. 교통수단을 선택할 여지가 있는 통행자가 서비스변수(재차 시간, 접근시간, 대기시간, 환승시간, 통행비용 등)에 준거하여 교통수단을 선택하는 행위를 추정하는 것이다. 교통수단 서비스수준의 차이, 통행자의 사회경제적인 특성의 함수로서 교통 수단 선택패턴을 추정하게 된다.
■ 통행단 모형(Trip End Model)
수단선택 모형이 통행배분단계보다 앞서 적용되기 때문에 통행자의 목적지나 어느 경로를 택 하는지 알 수 없으므로 통행발생량 예측시에 사용된 사회?경제변수를 활용하여 교통수단을 선 택하게 하는 방법으로, 이 모형이 사용된 주된 이유는 수요예측 과정의 초기단계에서 대중교통 선택 통행자를 미리 분석하여 제외해 버리면 도로 통행자만 남기 때문에 나머지 수요예측 과정 의 작업이 용이하다는 점으로 해석할 수 있다.
■ 최우추정법(Maximum Likelyhood Method)
최우추정법은 주어진 모집단이 어떤 종류의 확률분포를 하는지 알고 있으나, 구체적으로 분포 의 모집단을 나타내는 수치를 알지 못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방법으로 현상에서 나타난 결과가 가장 일어날 확률이 크다는 가정 하에 분석하는 방법이다. 각 개인, 대안별 독립변수 및 더미변 수는 조사를 통해 모두 알고 있으므로 미지수인 효용함수의 계수를 추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 충격파 이론(Shock Wave)
교통류를 유체와 같은 것으로 보고 이에대한 수리학적 원리를 적용시킨 것이며, 밀도와 교통 량 변화의 전파운동을 말한다. 예를들면, 도로상에 고장난 차량에 의해 생기는 병목현상을 생 각해 보면, 뒤따르던 차량들은 이 병목지점을 통과하기위해 속도를 줄여야 한다. 만약 교통류 와 밀도가 점점 커지면 속도를 줄이기 시작하는 지점은 점점 상류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와같 이 제동등이 켜지는 지점의 이동이 충격파의 이동을 의미한다.
■ 출발지연시간과 진행연장시간
출발지연시간은 어떤 접근로의 녹색시간이 14.2초라면 5대가 정지선을 통과할 수 있고, 이때 유효녹색시간은 10.5초이다. 이 때의 3.7초 차이를 출발지연시간(start-up delay)이라 한다. 진 행연장시간은 녹색신호가 끝나고 황색신호가 켜질때는 정지선 이전에서 정지할 수 없는 차량 은 계속 진행함으로서 결과적으로 황색신호를 이용하게 된다. 이때 추가적으로 진행한 차량대 수를 포화교통량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 유효녹색시간 = 녹색시간 + 진행연장시간 - 출발지연시간
'교통기술사 > 15. 교통용어, 신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도(고속철도, 일반철도, 도시철도, 전용철도, 광역철도)유형별 개념, 건설주체, 비용부담 (0) | 2016.04.04 |
---|---|
교통용어모음_Vol.03 (0) | 2016.02.19 |
교통용어모음_Vol.01 (0) | 2016.02.19 |
통행시간 예측모형 (0) | 2016.02.16 |
Turbo-Roundabout (0) | 2015.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