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버스의 점유시간 구성 및 정의
▷점유시간
- 한 버스가 정류장 정차면을 이용하는데 점유하는 시간으로 정차시간과 소거시간의 합. 정차면을 이용하는 버스의 최소 차두시간이 되기도 함.
- 버스 정차면 또는 정류장에서 버스의 점유시간은 정차면에 진입하기 위한 차량의 감속 및 진입시간, 출입문 개폐시간, 승객 승하차시간(요금징수방법, 계단높이 등에 따라 다름) 그리고 본 도로로 진입시간 등으로 구성
- 버스 정차면 또는 정류장의 용량의 분석을 위해서는 용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 버스의 정차면 점유시간 대한 분석이 필요하며, 용량은 점유시간에 반비례
▷정차시간(dwell time)
- (출입문 여는 시간+승객 승하차시간+출입문 닫는 시간) 버스정류장에 정차해 있을 동안의 시간으로 버스의 바퀴가 멈추었다 출발하는 사이의 시간을 의미.
▷소거시간(clearance time)
- 버스가 정류장의 빈 정차면에 진입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정차면을 사용한 후에 다음 버스가 이용할 수 있도록 비워주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합으로서 버스가 정차면에 진출입하는데 필요한 감 ‧ 가속시간이 큰 비중을 차지. 여기서 빈 정차면으로의 진입은 앞 버스의 소거시간 중에 이루어질 수도 있으므로 빈 정차면에 진입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매우 작거나 사실상 0 에 가까움.
- Transit operation time-distance profile (가속, 주행, 감속, 정차 등)
- 시공도상 버스정류장에서 버스궤적과 속도변화
'교통기술사 > 03. KHC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전거도로 서비스수준 분석 (0) | 2016.02.15 |
---|---|
버스시설 서비스수준 분석 - 차내용량, 운행간격 및 운행시간, 정차면 용량, 정류장 용량 분석 (0) | 2016.02.15 |
임계차로군과 임계V/C (0) | 2015.10.13 |
보행교통류율 (0) | 2015.10.13 |
오르막차로, 턴아웃, 양보차로 (0) | 2015.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