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TOD(Bicycle & Transit-Oriented Development)
[자료출처 : 자전거 중심 녹색도시교통체계 구축방안, 한국교통연구원]
BTOD 개념
ㅇ 자전거 중심의 녹색도시교통체계란 도시교통체계 내에서 자전거 이용에 적합한 통행을 자전거로 유도함으로써 효율성이 높은 도시교통체계
ㅇ 모든 통행을 자전거 이용으로 유도하는 것이 아니라 통행거리 및 목적 등의 통행특성을 고려하여 불필요한 자동차 이용을 줄이고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시키면서 전체적인 도시교통체계의 효율성과 형평성을 도모하는 것
[출처 : 자전거 중심 녹색도시교통체계 구축방안, 한국교통연구원]
자전거 중심 녹색도시교통체계(BTOD) 구축 모형
ㅇ BTOD는 기존의 TOD에서 자전거의 기능을 강화하여 대중교통과 함께 자전거가 도시교통체계의 중추적 기능을 담당하는 도시교통체계 모형
ㅇ BOD(Bicycle Oriented Development)는 BTOD에서 더욱 나아가 모든 도시교통체계가 자전거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도시교통체계 모형
ㅇ 자전거 중심 녹색도시교통체계 유형 비교
[출처 : 자전거 중심 녹색도시교통체계 구축방안, 한국교통연구원]
BTOD 구축 방안
ㅇ 자전거 중심 녹색도시교통체계 모형인 BTOD 및 BOD는 새롭게 제시된 모형으로 도시의 규모 등 다양한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추진
ㅇ 자전거 중심 녹색도시교통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종합적이고 선도적인 도시교통 정책 수립 및 지속적인 시행이 필요
기대 효과
ㅇ 자동차 중심의 도시교통체계에서 자전거 중심 녹색교통체계로의 변화를 도모
-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 에너지 위기 등의 문제로 인해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교통 분야에서 에너지를 사용을 줄이고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수단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수단은 보행, 자전거 등의 비동력 무탄소 교통수단이다. 이에 따라 도시교통체계를 기존의 자동차 중심에서 자전거 중심으로 변화를 유도하고 지속가능한 도시교통체계 구축에 기여한다.
ㅇ 도시교통체계 내에서 자전거를 독립적 교통수단으로서의 위상을 확보하는데 기여
- 지금껏 교통정책에서 자전거는 보행과 함께 주요교통수단이 아닌 보조역할을 수행하는 수단으로 인식되어 왔다. 특히 대부분 수단분담률 산정에서도 자전거가 제외되는 등 기초자료도 매우 부족하여 효율적 정책 수립에 한계가 있었다. 자전거를 도시의 핵심적인 교통수단으로 인식하고, 자전거급행도로 및 전기자전거와 같은 새로운 인프라 및 수단 공급을 통해, 자전거를 이용한 빠르고 편리한 통행이 가능한 환경을 구축
'교통기술사 > 15. 교통용어, 신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rklet (0) | 2017.04.21 |
---|---|
자가물류, 자회사물류, 제3자물류, 제4자물류 (0) | 2017.04.20 |
내륙물류기지 (0) | 2017.03.17 |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 (0) | 2017.03.07 |
입체도로제도 (0) | 2017.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