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선급행버스체계(BRT, Bus Rapid Transit)를
지하철 수준으로 향상시킨 최고급형 BRT를 도입하기 위해
「S-BRT 표준 지침(이하 가이드라인)」을 마련
- S-BRT는 전용 도로, 첨단 정류장 등 전용 시설과 운영 시스템을 활용
빠른 속도와 편리성으로 지하철 수준의 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최고급형 BRT로
급행기준 평균 운행속도 35km/h(일반 25km/h), 출·도착 일정 2분 이내, 이용객 편의성 등을 목표 서비스 수준으로 정함
- 이러한 서비스 수준을 달성하기 위해
전용주행로, 정류장 시설, 차량·운영 시스템 등 총 5개 분야,
총 16개 세부요소별 권장 및 필수요건을 제시
- 표준가이드라인에 따라 S-BRT가 도입되면
일반도로와 분리된 전용도로와 입체화된 교차로(또는 우선신호), 추월차선을 활용하여,
도로 지·정체와 상관없이 지하철과 같이 정류장에서만 정차할 수 있어
기존 BRT에 비해 속도와 정시성이 대폭 향상
ㅇ 또한 승객들이 직접 이용하는 정류장도 개선하여,
눈비 미세먼지 등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되는 폐쇄형 또는 반개방형으로 설치하고
수평승하차도 가능토록 하여 승하차 시간을 단축하고 교통약자 편의를 증진할 예정
ㅇ 운행 차량도 수소·전기버스 등 친환경 차량을 우선 운행하고,
수요가 집중되는 출퇴근 시간에는 굴절버스 등 대용량 차량을 투입하여
이용자들이 만차로 인한 추가 대기 없이 쾌적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
ㅇ 지하철 등 주요 연계 교통수단까지의 환승거리를 최소화하고
운행스케줄을 연계한 급행버스 서비스를 도입하여 환승편의를 강화할 예정
정류장 내 사전요금지불시스템을 도입하고,
차량 및 정류장에 냉·난방 시설, wifi, 위치정보 표시서비스 등 이용객 편의서비스를 제공할 계획

ㅇ 국토교통부에서는 표준가이드라인에 따라 S-BRT가 도입이 되면 국제기준(BRT Standard, ITDP) 최고 수준인 Gold 등급*의 BRT가 실현될 것으로 기대
* ITDP는 BRT 성능·운영수준 등에 따라 4개 등급(Gold, Silver, Bronze, Basic)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전용주행로 및 추월차로,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되는 정류장, 수평 승하차 시설 등을 갖춘 최상급 BRT를
Gold 등급으로 규정


'교통기술사 > 15. 교통용어, 신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BTX(Bus Transit eXpress) (4) | 2021.07.02 |
---|---|
교통 시뮬레이션(Macroscopic, Mesoscopic, Microscopic simulation) (0) | 2020.02.04 |
보행자 우선 출발신호(LPI, Leading Pedestrian Interval) (0) | 2019.12.19 |
도로의 구분(분류) (0) | 2019.08.06 |
버스곶(Buscape), 미드 블록(Mid Block) = 내민연석(Bus bulb) (0) | 2019.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