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P와 RP의 개념 및 특성, 비교
- 교통계획분야에서 있어 교통수요예측은 장래 계획에 대한 정책결정 뿐만 아니라 교통계획 전반에 걸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이들 교통수요예측 방법은 대부분 실제로 행해진 행동결과(Revealed Preference : RP)로부터 얻어진 data를 이용하고 있으
며, 이 경우 장래의 교통여건이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전제조건으로 하고 있다.
- 그러나 장래 교통환경의 급격한 변화나 새로운 교통수단이 추가될 경우 수요예측에 있어 어려움을 지니게 된다.
- 특히 새로운 교통수단이 추가될 경우 기존 교통수단에 대한 RP data로 추계된 파라메타를 이용해서 새로운 교통수단의 전환율
을 구하는 예측작업은 추가된 교통수단의 특성 및 이용상의 조건 등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는다.
- 이 경우에는 새로운 교통수단의 도입을 가정한 이용조건에 대해 개개인의 선호의식(Stated Preference : SP)조사에 기초한 예
측방법이 보다 합리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사진출처 : puestadelsolpta.org
▷ SP조사와 RP조사의 비교
1) 선호의식(SP) 조사
∙ 선호의식(Stated Preference : SP)조사는 가상의 상황에 있어서 특정대상과 그 속성에 관해 개인 선호, 의견, 의향 등
의 의사표시에 의한 data이다.
∙ 실제 행동결과(Revealed Preference : RP)와는 그 대상 또는 속성의 존재 유무에 따라 크게 분류된다.
∙ SP조사는 객관적 조사를 얻을 수 없는 경우와 객관적 data가 불합리한 경우에 data의 보완 및 대체 하는 것으로 사용
될 수 있다.
2) 실제행동 결과(Revealed Preference : RP) 조사
∙ 현재의 이용수단에 대한 통행실태조사로 통행특성과 현황을 파악하게 된다.
3) SP와 RP의 비교
▷ SP조사의 장점 및 잠재오차
1) SP data의 효용성
① 통행자 의사결정에 내재되어 있는 정보를 제공
② 비교적 적은 수의 설문조사로 유용한 모형구축 가능
③ 현존하지 않는 계획에 대한 효과분석 및 평가가 가능
2) SP data의 잠재오차
① 긍정 편차 : 자기생각보다 설문자가 듣기를 기대한다고 생각하는 선택
② 합리화 편차 : 자신의 현재 행동을 합리화하기 위해 인위적 응답
③ 정책반응 편차 : 정책에 영향을 주기 위해 고의적인 응답
④ 제약조건을 무시한 반응편차 : 실제 제약조건을 무시하는 비현실적인 응답
'교통기술사 > 12. 교통조사 및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널조사(panel survey) (0) | 2016.11.22 |
---|---|
Cordon Line 조사 (0) | 2016.02.18 |
Screen Line 조사 (0) | 2016.02.18 |
교통량 조사(상시조사, 수시조사) (0) | 2015.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