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성 분석 기법


편익/비용 비율(Benefit -Cost Ratio, BCR, B/C)

-  경제적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우선 편익/비용 비율(Benefit -Cost Ratio, BCR)을 구함. -  편익/비용 비율이란 총편익과 총비용의 할인된 금액의 비율, 즉 장래에 발생될 비용과 편익을 현재가치로 환산하여 편익의 현재가치를 비용의 현재가치로 나눈 것이며, 일반적으로 편익/비용비 1 이면 경제성이 있다고 판단

순현재가치 (Net Present Value, NPV)

-  두번째로 순현재가치 (Net Present Value, NPV)를 추정하는 것도 중요함.

-  순현재가치란 사업에 수반된 모든 비용과 편익을 기준년도의 현재가치로 할인하여 총 편익에서 총비용을 제한 값이며 순현재가치 0 이면 경제성이 있음

내부수익률 (Economic Internal Rate of Return, EIRR)

-  내부수익률 (Economic Internal Rate of Return, EIRR)을 구하는 작업도 수행하여야 함.

-  내부수익율은 편익과 비용의 현재가치로 환산된 값이 같아지는 할인율 R을 구하는 방법으로 사업의 시행으로 인한 순현재가치를 0으로 만드는 할인율이며, 내부수익률이 사회적 할인율보다 크면 경제성이 있다고 판단

-  내부수익율(EIRR) :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R


경제성 분석기법 비교, 장단점

분석기법

판단

장 점

단 점

편익/비용비

(BCR)

BCR

1

이해용이, 사업 규모 고려 가능

비용편익 발생시간의 고려

 

편익과 비용의 명확한 구분이 곤란

상호배타적 대안 선택의 오류 발생 가능

사회적 할인율의 파악

내부수익률

(EIRR)

EIRR

r

사업의 수익성 측정 가능

타 대안과 비교가 용이

평가과정과 결과 이해 용이

사업의 절대적 규모 고려하지 않음

몇 개의 내부수익율이 동시에 도출될

가능성 내재

순 현재가치

(NPV)

NPV

0

대안 선택시 명확한 기준 제시

장래 발생 편익의 현재가치 제시

한계 순현재가치 고려

타 분석에 이용가능

할인율의 분명한 파악

이해의 어려움

대안 우선순위 결정시 오류발생 가능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