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질오염절감편익

편익의 개념

-  철도 시스템을 포함한 BRT(Bus Rapid Transit, 간선급행버스체계), PRT(Personal Rapid Tranist, 궤도기반 개인교통시스템), GRT(GuidedRapid Transit, 유도고속차량) 등 친환경 교통수단에 대해 신규로 고려할 수 있는 편익


사진출처 : grikr.tistory.com

편익산정방법

1) 자동차 통행으로 인한 환경피해로는 대기오염물질과 온실가스 배출 이외 도로에서 유출되는 강우 유출수로 인한 수질오염이 있음

2) 친환경교통수단 도입으로 수단이 전환될 경우 자동차 통행감소로 인한 수질오염배출절감편익을 고려할 수 있음

3) 수질오염절감편익의 산정

-  도로교통량 변화비율 이용

-  편익발생 자동차 통행량감소로 인한 도로비점오염감소(도로에서 강우 유출수로 인해 발생되는 수질오염물질 배출 원단위 고려)

반응형

'교통기술사 > 06. 교통경제,민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차비용 절감 편익  (0) 2015.12.29
통행시간 신뢰성 가치  (0) 2015.12.29
여객 쾌적성 향상 편익  (0) 2015.12.29
경제성 분석 기법  (2) 2015.12.29
통행시간가치(Value of Time)  (0) 2015.12.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