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차비용 절감 편익
▷ 편익의 개념
- 주차비용 절감 편익은 철도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평가 시 반영할 수 있는 사업 특수 편익 항목
- 철도 투자사업의 결과로 승용차에서 철도로 수요의 전환이 일어날 경우, 이와 병행하여 주차수요가 감소
- 감소된 주차수요는 주차시설 확충에 필요한 자원의 소비를 감소시키고 절감된 자원의 기회비용을 편익으로 반영
사진출처 : 픽사베이
▷ 편익산정방법
1) 철도 투자사업의 결과로 승용차에서 철도로 수요의 전환이 일어날 경우, 이와 병행하여 주차수요가 감소하게 되며, 승용차 보유의 감소는 주거지역의 주차 수요를 감소시키고, 자동차 통행의 감소는 비주거지역의 주차수요를 감소시킨다.
- 철도사업으로 자동차 보유 자체를 감소시킨다고 보기는 어려우나 자동차 통행 감소에 따른 편익은 계상할 수 있음
- 감소된 주차수요는 주차시설 확충에 필요한 자원의 소비를 감소시키고 절감된 자원의 기회비용을 편익으로 반영할 수 있음
- 단, 지역 간 철도 사업의 경우에는 역 주차장을 건설 운영하므로 주차비용 절감편익은 도시부철도(도시철도 및 광역철도를 말한다) 사업에 한정하여 계상
2) 주차비용 절감편익 산정
- 사업 시행 전 후의 주차장 비용(용지비, 건설비, 운영비 원단위 적용)의 차이를 편익으로 계상
- 주차비용절감편익은 철도 사업의 규모 및 파급효과에 따른 주차수요 감소 정도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산정
① 주차수요 감소와 기존 주차장 이용률 저하로 운영비 절감이 예상될 경우
② 기존 주차장 여유 공간 발생 및 운영비 절감이 예상될 경우
③ 신규 주차장 확충에 필요한 자원을 절감할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교통기술사 > 06. 교통경제,민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행시간 절감 편익 (0) | 2015.12.29 |
---|---|
도로와 철도의 편익 항목 (0) | 2015.12.29 |
통행시간 신뢰성 가치 (0) | 2015.12.29 |
수질오염절감편익 (0) | 2015.12.29 |
여객 쾌적성 향상 편익 (0) | 2015.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