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교통기술사 기출문제 유형별 정리]

번호는 출제연도-출제회차-교시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16-110-1 2016110회차 1교시임.

 

<. 교통경제, 민자사업>

 

-비용가격-

03-71-1 수명주기비용(Life Cycle Cost)

04-72-1 매몰 비용(sunken Cost) 처리방법

05-75-1 잠재가격

05-75-1 한계 사회비용의 가격화 (Marginal Social Cost Pricing)

06-78-1 일반화 비용(generalized costs)

06-78-1 매몰비용(sunken cost)

09-87-1 기회비용잠재가격

09-89-1 평균비용한계비용의 관계

10-92 Road PricingValue Pricing에 대하여 논하시오.

11-95-1 Sunken Cost Salvage(Residual) Value

15-107 생애주기비용 (LCCLife cycle cost) 의 개요와 분석절차분석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 및 향후 개선되어야 할 내 용을 설명 하시오

 

-시간가치-

08-86-1 비업무 통행의 시간가치 추정방법

09-87 수요예측모형 및 경제성분석에서 시간가치(VOT)가 반영되는 내용을 기술하고, 현재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시간가치의 산정방식을 업무통행 및 비업무통행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10-92-1 통행시간가치 산정에서 활용되는 한계대체율법

12-98 통행시간 가치의 측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3-99 통행시간가치의 산정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도로 및 철도시설에 대한 요금 탄력성 분석치 통행시간가치의 활용도를 설명하시오

14-104 통행시간가치의 기본 개념과 측정방법, 통행시간 가치가 갖는 문제와 산출과정에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에 관하여 각각 설명하시오.

16-110 통행시간가치 추정법의 종류 및 장·단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6-110 도로에 대한 통행시간 정시성 개념 및 관련지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편익비용항목-

09-87 프랑스 파리의 밸리브(VELIB)와 유사한 공용자전거시스템을 자전거도로가 이미 충분히 설치된 도시에 도입하려고 한다. 경제성 분석을 위한 비용과 편익의 산출방안을 설명하시오.

10-90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에 의한 투자평가지침이 개정됨에 따라 개정된 투자평가지침에서 제시하는 도로부문의 편익항목 중 직접편익의 종류와 산출방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기술하시오.

11-93 철도부문의 타당성 조사 시 도로부문에는 고려되지 않는 직접 편익 항목인 교통쾌적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2-96-1 차량운행비용 손실

13-99-1 수질오염 절감편익

14-102 교통시설투자에 따른 사회적 편익을 경제학에서 제시하는 소비자 잉여(Consumer surplus)관점에서 설명하시오

14-104-1 통행시간 신뢰성 가치

14-104-1 교통사고 편익

14-104 타당성조사(예비타당성 조사 포함)에서 경제성 분석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도로와 철도사업에 대한 비용항목의 종류와 산출방법을 각각 설명하시오.

 

 

-할인율-

05-75-1 사회적 할인율

08-84 사회적 할인율 결정에 대한 이론과 최근 할인율 조정배경을 서술하고, 사회적 할인율이 변화될 경우 경제성분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기술하시오.

14-104-1 개인적(사적) 할인율과 사회적 할인율

 

-최적투자시기-

05-75-1 최적 투자시기

07-81 투자 우선순위 최적투자시기 산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9-89-1 최적투자시기 결정 방법

10-92 경제성분석에서 최적투자시기 결정을 위해서 이용하는 시차적 분석과 초년도 수익률법을 설명하고, ·단점을 논하시오.

 

-경제성 분석기법-

05-77 가상가치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 : CVM)의 개념, 조사 및 분석방법, 적용상의 한계점을 설명하시오.

06-78 교통사업 경제성 평가지표로 이용되는 비용편익비(B/C), 순현재가치(NPV), 내부수익률 (IRR)을 설명하고, 다수의 대안이 존재하는 교통사업의 경우, 사회적 편익이 중요할 경우, 사업비 제약이 있을 경우 등 3가지 경우에 각각 어떤 평가지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설명하시오.

07-81 FYBCR(First Year Benefit Cost Ratio), B/C, NPV, IRR 기법들을 비교하시오.

15-107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하는 평가지표에 관하여 그 종류와 세부적 평가내용을 설명하시오

 

-민감도 분석-

03-69-1 비용-편익분석에 있어서의 민감도 분석 (sensitivity analysis)

05-77-1 민감도(또는 감응도) 분석(Sensitivity Analysis)

 

-재무분석-

05-75 경제적 타당성과 재무적 타당성 평가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이들 평가방법을 비교하시오.

09-87 경제적 타당성평가와 재무적 타당성평가 간의 차이를 항목별로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10-90 재무적 타당성의 분석결과는 민자유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재무분석 후 어떤 경우에 민자유치가 가능하다고 판단하는지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12-96 재무적 순현재가치법(FNPV)와 재무적 내부수익률법(FIRR)을 설명하시오

12-98 경제적 타당성과 재무적 타당성의 주요 차이점과 분석시 기본전제에 대해 설명하시오

15-107 재무적 타당성 분석과 경제적 타당성 분석의 차이를 가격기준이전비용의 처리 및 할인율의 적용 관점에서 설명하시오.

16-108 교통분야의 민자사업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재무적 타당성분석에서 사용되는 현금흐름할인법의 세 가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계층분석법-

03-69-1 계층분석법(analytic hierarchical process : AHP)

06-80-1 쌍대문제(dual problem)

07-83 관련 요소간의 상대적 중요성(비중)을 파악할 수 있는 방안중 하나인 계층분석기법(AHP)의 분석과정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14-102 분석적계층화법(AHP), 도로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시 이를 적용하는 방안을 설명하시오

15-107-1 분석적계층화법 (AHP)

 

 

 

-- 민자사업 ---


-사업유형-

05-75-1 BOT(Build-Operate-Transfer) BTO((Build-Transfer-Operate)

05-77 민자유치사업(민간제안사업)의 운영방법인 BTO, BOT, BOO, BTL의 장단점을 설명하시오.

08-84-1 BTOBTL 사업방식의 개념과 차이점

10-90-1 민간투자사업 방식 중 ROT(Rehabilitate-Operate-Transfer), ROO(Rehabilitate-Own-Operate)

12-98 민간투자사업 추진방식 중 최근 대두되고 있는 R사업(RTO, RTL)의 개념과 그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4-102 최근 일부 지자체 및 정부에서 기존의 최소운영수입보장(MRG)방식으로 추진해오던 민간투자사업을 비용보전(SCS : Standard Cost Support)방식으로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각각의 사업방식을 설명하고, 최소운영수입보장(MRG)방식에서 비용보전(SCS) 방식으로의 전환이 해당 지자체에 어떤 이익을 줄 수 있으며, 어떤 단점을 초래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민자사업 문제점 및 개선방안-

04-72 사회간접 자본의 민간 자본유치 성과를 설명하고, 제도운영상 나타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설명하시오.

05-75 SOC의 민자유치사업 시행시 교통의 역할과 수요예측방법, 문제점, 개선방법을 논하시오.

12-96 용인, 부산김해, 의정부 등 경전철 민자사업 과정에서 도출된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4-104 민간투자사업에 관하여 추진방식과 유형별 장·단점, 사업의 선정원칙, 추진과정에서 발생되고 있는 문제, 기 시행된 사업을 통해 향후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용을 각각 설명하시오.

15-107 최소운영수익보장제 (MRG) 가 적용되는 민간 투자사업의 사업재구조화 방안의 장 · 단점과MRG 폐지 이후 논의되고 있는 최근 민간투자 활성화 방안을 설명하시오

 

-민자사업 절차-

07-83 민간투자사업에서 정부고시 사업의 진행과정(절차)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11-93 민간투자사업에서 정부고시사업과 민간제안사업의 절차상의 차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경제기타-

07-81-1 VFM(Value For Money)

08-86-1 민자사업의 Project Financing

09-89-1 VE(Value Engineering)

10-90-1 MRG(Minimum Revenue Guarantee)

10-90-1 교통요금변화에 따른 탄력성

12-96-1 수익성지수(PI)

08-84 도로교통부문의 경제성 분석에서 나비효과(Butterfly Effect)를 설명하고 이에 대한 개선대책을 기술하시오.

10-92 교통시설 개선의 효과는 이동성과 접근성 향상으로 인한 직접효과와 토지이용 및 산업입지 변화 등의 간접효과로 구분된다. 직접효과 평가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차량운행비용 및 시간가치 감소 등을 금전적 가치로 환산한 편익과 투자비용에 기초 하여 경제성 평가를 시행한다.

1) 경제성 평가 중심의 직접효과 평가가 갖는 한계를 설명하시오.

2) 교통시설 개선이 토지이용에 미치는 연쇄 파급영향 과정을 설명하시오.

3) 간접효과의 특성을 기술하시오.


교통기술사 기출문제 유형별 정리_Ⅵ. 교통경제, 민자사업.pdf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