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교통기술사 기출문제 유형별 정리]

번호는 출제연도-출제회차-교시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16-110-1 2016110회차 1교시임.

 

<. 자전거 및 대중교통, 보행>

 

-자전거-

03-69 자전거도로를 유형별로 구분하고, 자전거 도로망을 구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을 설명하시오.

03-71 자전거 횡단도를 구성하는 방법을 논하시오.

04-72-1 자전거 전용도로의 용량 산출 방법

07-81 자전거도로 계획 및 자전거 이용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논하시오.

08-86 자전거를 녹색교통수단으로 지칭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우리나라에서 녹색교통수단이고 환경 친화적인 자전거 문화가 활성화되지 못한 원인과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90-1 자전거도로의 종류와 종류별 설계속도

13-101 교차로 형태별 자전거 횡단계획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버스-

04-72-1 버스정류장의 용량 결정 요소와 방법

04-74 버스정차면 용량 산정에 대해 연속류와 단속류를 구분해 기술하시오.

07-81 비수익 버스 노선의 운행조정 및 지원방식에 대하여 논하시오.

08-86-1 버스노선 입찰제의 두 종류인 총비용 입찰제와 최저보조금 입찰제

10-90-1 중앙버스정류장의 정차면수에 따른 이용효율(추월차로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13-99 중앙버스정류장의 버스 이용객 처리용량은 버스 정차면수에 따라 설치효율이 다르다. 추월차로가 있는 경우와 추월차로가 없는 경우로 구분하여 각각을 설명하시오

. 계획 정차면수에 따른 설치효율과 유효정차면수

. 버스정류장의 용량산정

16-110 우리나라 대중교통 용량산정 과정 중 버스의 정차면 용량산정 방안을 설명하시오.

 

-지하철-

08-86-1 지하철 승강장 종류와 장단점

 

-대중교통-

03-69 대중교통 요금체계중 균일요금제, 거리요금제, 거리비례제, 구간요금제의 개념과 특징을 비교하시오.

06-78 대중교통의 구성요소와 대중교통수단의 종류를 쓰고, 대중교통기본계획을 위한 중점조사 사항을 기술하시오.

06-80-1 대중교통이용자 통행체계단면도(trip profile)

06-80-1 대중교통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07-81 통행권과 기술에 기준하여 대중교통을 분류하고 그 특성을 논하시오.

08-84-1 대중교통 체계의 구성요소

08-86-1 대중교통 통합거리비례요금제

 

-Choice Rider-

04-72-1 선택적 통행자(Choice Rider)의 교통수단 선택시 고려요소

07-83-1 Captive RiderChoice Rider에 관하여 각각 설명하시오.

16-110-1 Choice Rider

 

-보행-

04-74 국도변 토지이용이 활성화되면서, 국도변에서 보도설치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바, 국도변 보도설치시 설치기준 등 고려사항을 설명하시오.

12-96-1 공공보행통로

 



 


-BRT-

03-71 최근 미국의 주요 도시를 비롯한 외국 대도시는 BRT(Bus Rapid Transit) 시스템을 경쟁적으로 도입하는 추세에 있다. 지하철을 주축으로 대중교통시스템을 구축한 이들 도시가 BRT시스템을 위주로 버스중심의 교통체계로 바꾸는 이유를 설명하고, 효율적인 BRT시스템을 도입하는데 필수적인 버스우선처리시스템의 종류와 처리기법에 대해 논하시오.

03-71 대도시 가로에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설치할 경우 애로점과 극복방안에 대해 논하시오.

04-72 LRT(Light Rail Transit)BRT(Bus Rapid Transit)의 수송용량, 건설비, 공사기간, 서비스 특성, 설치입지 여건등을 비교 설명하고 LRTBRT 관련 제도개선 방안을 논하시오.

04-74 현 가로변 버스 전용차로제에서 중앙버스전용차로로 제도를 변경하는 경우 설계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행정적, 기술적 사항에 대해 기술하시오.

06-78 중앙버스전용차로의 기본개념도(정류장이 있는 부분)를 간략하게 작성하고, 적용조건과 설치 시 고려사항을 기술하시오.

06-80-1 BRT에서의 프리페이드 시스템(pre paid system)

08-84 최근 신도시개발계획 수립과정에 TOD(Transit Oriented Development)개념에 입각한 BRT(Bus Rapid Transit)를 중심으로 하는 대중교통활성화에 중점을 두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른 문제점과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기술하시오.

08-86 BRT 정류장의 설치 위치는 교차로 전 정류장(Nearside Stop), 교차로 후 정류장(Farside Stop), 도로구간 내 정류장(Mid-block Stop)으로 구분되는데 각 정류장에 대한 특성 및 장단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8-86 중앙버스전용차로의 정류소에 설치하여야 하는 각종 시설의 종류를 설명하고, 각 시설을 어떻게 설치하는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8-86 서울과 부산 등의 대도시지역에서 대중교통서비스가 취약한 일부 지역에 경량전철(LRT)과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중 어떤 수단을 도입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해 설명하시오.

09-89 대도시권의 광역 BRT(Bus Rapid Transit)의 개념을 설명하고, 수도권의 BRT사업 추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논하시오.

09-89 최근 정부는 TOD(Transit Oriented Development)와 관련하여 대중교통활성화 정책에 무게를 두고 있다. BRT(Bus Rapid Transit)를 포함한 대중교통우선정책 중 교차로 및 버스정류소에서 적용할 수 있는 기법에 대해 논하시오.

12-96-1 BRT 구성요소

13-101 BRT(Bus Rapid Transit)의 구성요소와 교차로에서 능동적 신호우선처리 전략에 대하여 설명

 

-신교통수단-

03-69 지하철과 경전철을 주행속도, 수송용량, 건설비 측면에서 그 특징을 비교하시오.

03-71-1 굴절버스

05-77 신교통수단의 종류별 장점과 단점을 비교하고 설치시 유의사항을 설명하시오.

07-83-1 PRT(Personal Rapid Transit)를 설명하시오.

08-86 경량전철의 종류와 설계상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90 신교통수단AGT(Automated Guideway Transit), LIM(Linear Induction Motor), 모노레일, 자기부상열차에 대하여 비교하여 기술하시오.

10-90-1 Bimodal Tram

10-90-1 특별교통수단(STS : Special Transportation System)

11-93-1 모노레일의 특징과 종류

11-93-1 On-Line 전기자동차

13-99 신교통수단 선정 가이드라인의 주요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4-102-1 트램(Tram)

15-105-1 PRT(Personal Rapid Transit)

15-107-1 무선충전 전기버스의 장·단점

15-105-1 무가선 트램 (Tram)

15-105 최근 많은 지자체에서는 친환경 교통수단 및 지자체 특성화 등을 이유로 신교통수단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이미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는 BRT, 경전철 뿐 아니라R&D 사업으로 개발 중인 바이모달 트램노면전차를 포함하여신교통수단을 도입하기 위해 지자체가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환승센터-

04-72 입체적 도시계획(중복용도 지정 제도)을 활용한 교통종합 환승센타 계획시 고려 요소와 환승관련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논하시오.

05-77 교통터미널(교통결절점시설)의 주요기능을 3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07-81 환승시설의 분류와 계획시 고려사항 및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방안에 대하여 논하시오.

09-89 정부는 최근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을 제정하여 시행계획에 있다. 이에 의하면 주변 토지이용의 집약성 및 고도의 효율성 창출과 연계하여 환승센터를 기능별로 구분하여 개발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내용을 제시하고 있는데 복합환승센터의 정의, 기능별 분류, 개발전략 및 내용에 대해 상술하시오.

11-93 복합환승센터내 환승시설 및 환승지원시설의 배치기준을 설명하시오.

11-95 정부는 최근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을 제정하여 시행계획에 있다. 이에 의하면 타 지역과의 접근성 향상, TOD(Transit Oriented Development)와 연계한 개발 방안 등을 권장하고 환승센터를 기능별로 구분하여 개발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이 법에 따른 복합환승센터를 기능별로 분류하고, 이의 개발전략 및 내용,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2-96 최근 추진되고 있는 복합환승센터의 개요와 사업 추진과정에서 예상되는 주요쟁점이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13-99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에 제시된 복합환승센터의 정의, 복합환승센터의 수요 추정방법 및 내부편익산정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교통기술사 기출문제 유형별 정리_Ⅶ. 자전거 및 대중교통, 보행.pdf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