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1차로 도로 건설시 짧은 구간에 설치된 다수의 평면교차로(간이교차로) 처리방안

 

기존에 설치된 간이 교차로 및 소규모 교차로의 경우 지역 여건 및 방향별 교통량을 고려하여 수요가 적은 교차로를 몇 개 단위로 묶어 단일로로 만들고 해당 목적지를 지나 U턴을 통하여 진입



 

단순한 간이 도류화 및 노측으로 좌회전차로를 분리한 형태로 본선 교통 흐름을 유지하게 하면서 적은 회전 교통수요를 본선에서 분리시켜 교통안전상 유리하며, 지방지역의 비형식적인 간이 교차로(중앙선 단순절취) 등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좌회전 차량의 안전성 및 본선 교통류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교차로에서 우회전하여 주전자 손잡이 형태(Jug-Handle)의 기하구조를 통하여 돌아 나오게 하여 좌회전 차량을 처리하는 방식으로 신호 설치시 1현시(All Green) 또는 2현시로 운영이 가능

 


Superstreet 개념을 이용하여 지방지역 2+1차로 도로의 신호교차로를 없애 본선의 연속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동서방향의 주도로 및 남북방향의 부도로에서 접근하는 좌회전 수요를 교차로 인근의 U턴 차로에서 처리하도록 하여 신호교차로에 의한 지체를 막을 수 있으며 2+1차로 도로의 연속성도 유지



 

기존 2차로 도로의 확장을 통한 2+1차로 도로 설계시에 노선을 따라 형성된 마을구간 등으로 인하여 확장이 불가능하거나 교차로 설치가 불가피할 때 회전교차로 설치를 통해 문제를 해결



 

반응형

'교통기술사 > 05. 교통운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터링(Metering)  (0) 2016.10.28
적신호시 우회전(RTOR, Right Turn On Red)  (0) 2016.04.08
2단 횡단보도 (Staggered Pedestrian Crossing)  (0) 2016.02.19
신호제어변수  (0) 2016.02.16
교통신호기 설치기준  (0) 2015.12.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