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Bike Bus 시스템

 

󰊱 Bike Bus의 시스템의 개념 및 특징

개별자전거 통행자, 정류장, 터미널, 도로시스템 및 관련시설 등으로 구성

- Bike Bus platoon은 노선버스와 같이 운행노선과 스케줄에 따라 주행하며, Platoon 전후방에 가이드를 배치하여 운영

- Bike Bus 이용자는 가까운 정류장에서 대기하다 해당 노선의 Platoon에 합류하여 목적지 정류장까지 이동

- Bike Bus 정류장은 버스정류장과 유사하게 노선 및 시간안내 등의 역할을 수행

- Bike Bus 노선이 통과하는 도로에는 안내와 안전시설을 설치

노선 중첩 및 교차 이용자가 많은 지점에 Bike Bus 터미널을 설치


사진출처 http://www.bikebus.org.au/

 

󰊲 Bike Bus의 시스템 활용방안

출퇴근, 등하교 등의 일반교통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Bike Bus Transit 시스템 구성

자전거를 관광교통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관광 상품과 연계하여 활용

 

󰊳 추진방향

관련시스템과 연계개발로 운영의 고도화 지향

공공자전거 및 자전거 급행도로 등과 연계하여 보다 효율적인 Bike Bus 시스템 구축

위험지역 및 이용자가 많은 노선은 자전거 전용도로, 자전거 급행도로의 건설시 우선 고려하여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Bike Bus 시스템 실현

기본시스템 계획 및 시범도입

자전거 전용도로 구간 및 출퇴근, 등하교 이용자가 많은 노선, 자전거를 이용한 관광이 가 능한 지역을 시범사업지역으로 선정

3. 노선확대 및 시스템 고도화의 단계적 추진

- Bike Bus 노선 및 운행 정보 및 안내와 홍보를 위한 Bike Bus 종합안내 웹사이트를 구축 하여 운영

 

󰊴 기대효과

생활교통수단으로의 자전거 이용 확대

- Platoon을 형성하여 이동함으로써 자동차와의 사고 위험을 줄이고, 가이드의 리드와 관 리를 통해 보다 안전한 자전거 통행 기대

초행자의 자전거 경로에 대한 지식부족으로 인한 이용 기피를 줄여 새로운 자전거 통행수요 창출

기존인프라 활용극대화 도모

다양한 자전거 노선을 개발하여 기존인프라 활용을 극대화 하고 기종점(O/D) 및 경로분석 자료를 자전거 인프라 계획에 활용

새로운 자전거 대중교통시스템 구축

자전거 이용자들이 그룹(platoon)을 형성하여 정해진 노선과 스케줄에 따라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성과 신뢰성을 제고

도로상에서 자동차와 동등한 공간을 점유하고 이동함으로써 자동차 운전자가 쉽게 인식이 가능하여 안정성을 제고

자전거 통행의 안정성과 편리성, 이동성 향상 도모

- (뭉치면 산다) 자전거가 그룹(platoon)을 이루어 이동함으로써 자동차에 비해 상대적 약자인 자전거 교통수단의 위상을 강화

- Share the Road : 자동차와 자전거가 공존하는 교통수단이라는 인식을 자동차 운전자들 에게 환기시키는 효과

충분한 자전거 인프라의 공급 이전까지 소규모 시설투자로 기존 자전거도로 및 도로시설 을 활용하여 자전거 활성화 도모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