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raess's Paradox
개요
1. Braess's Paradox는 새로운 가로망의 건설에도 불구하고 시스템
전체의 통행시간 증가를 가져오는 현상을 말한다.
2. 규범적인 체계 최적상태와 현실적인 이용자 균형상태의 통행패턴
의 차이를 설명해주는 사례가 된다.
Braess's Paradox
1. Braess's Paradox 발생원인
(1) 새로운 가로망 건설의 의도 : 체계 전체의 통행시간 감소
(2) 실제 통행 이용자 : 자신만의 통행시간을 최소화
(3) 현실적인 통행배정 : 개인의 통행시간 최소화를 위한 이용자
균형원리에 의해 이루어짐
(4) 체계 최적상태를 이루지 못함으로 인해 발생
2. Braess's Paradox 극복방안
(1) 미터링 기법을 이용
① 잘못연결된 도로때문에 본선교통량이 급격한 감소현상 방지
② 전체 통행인의 교통시간이 증대되는 것을 예방
(2) 교통방송 등 단편적인 교통정보 제공
① 네트워크상의 흐름을 조절, 불필요한 손실 방지
② 시스템 전체의 효율을 증진
결론(시사점)
1. Braess's Paradox는 신중하고 체계적인 교통투자의 중요성을 시사
2. 통행선택의 제한과 감소가 오히려 전반적인 통행패턴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수요관리정책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사진출처 : 픽사베이
■ Down-Thompson's Paradox
개요
1. Down-Thompson's Paradox는 개인교통을 위한 도로용량의 증가는
오히려 통행비용을 상승시킨다는 이론이다.
2. 개인교통과 대중교통 혼재된 도시의 도로건설
(1) 도로건설 → 도로용량 증대
(2) 승용차의 이용수요 증가, 대중교통 이용수요는 감소
(3) 사회적인 통행비용이 오히려 증가
3. 대중교통 이용수요 감소
(1) 서비스 질(배차간격, 대기시간 등) 저하
(2) 통행비용이 증가
(3) 전체적인 통행비용이 오히려 증가한다는 역설
4. 각종 대중교통정책을 장려, 사회적 통행비용을 감소시켜야 한다.
■ Edgeworth Paradox
개요
1. Edgeworth Paradox란 승용차 이용자에게 혼잡세 부과하면
(1) 승용차 통행비용 증가 → 대중교통으로 전환
(2) 사회적 통행비용은 낮아진다는 理論이다.
2. 이론적 한계비용(Marginal cost)과 평균비용(Average cost)의 차이
만큼 부담금을 징수하면 승용차의 통행비용을 증대시켜 전체적인
통행비용은 감소하게 된다.
'교통기술사 > 15. 교통용어, 신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통부문 넛지효과(Nudge Effect) (0) | 2015.11.05 |
---|---|
Bike Bus (0) | 2015.11.04 |
워킹스쿨버스 (Walking School Bus) (0) | 2015.11.04 |
Extended Bay(좌회전 유도차로) (0) | 2015.11.03 |
도로 다이어트(Road Diet) (0) | 2015.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