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상사업별 중점 분석 항목

 

택지개발사업, 도시개발사업, 산업단지개발사업 등 대규모사업

- 사업지구의 가로와 교차로에 대한 용량의 적정성 여부, 사업지구의 내부도로 교차지점에 대한 도로위계의 적정성 여부 및 교차방식의 적정성 여부, 사업지구의 내부도로와 외부도로간 연결 적정성 및 유발 교통량과 통과 교통량의 처리문제의 적정성 여부, 사업지구의 내부 통행거리 및 통행수요 적정성여부, 대중교통수단 및 도시철도경전철 등 신교통수단 도입 필요성 여부 및 운영가능성 여부, 도시성장 가능성 및 개발 잠재력, 지형조건 등을 고려한 광역교통망체계의 구축에 관한 사항을 검토하되 해당 사업의 중장기 목표년도의 예측 교통량 수용여부 포함, 각종 교통개선대책의 적용 및 응용한계의 설정,상가, 어린이놀이터, 휴게시설, 주민운동시설 등과 연결되는 차량 진출입구의 위치, 단지 내 연결 또는 내부도로의 폭원, 블럭별 필요주차규모, 보행자도로 또는 자전거도로연결 형태 등 향후 소블럭별 개발시 적용될 교통개선대책의 지침설정, 유발교통량의 분산처리를 위한 연결도로의 신설여부, 사업지구의 주변 이해관계인의 교통장애요인 발생여부 분석 등

 

지구단위계획, 대지조성사업, 국민임대주택단지 개발사업 및 주택재개발사업 등 구체적인 건축계획과 주변 공간계획이 비교적 구체화된 중간규모 블록단위사업

- 각 블럭별 차량의 진출입허용구간 분석 및 가감속 완화차로 설치 적정성 여부, 사업지구의 외부에 있는 기존도로와 연결구간의 적정성 여부, 사업지구의 공공 노외주차장의 규모, 배치위치, 출입방식의 적정성 여부, 사업지구의 보행공간 및 보행동선체계 구축의 적정성 여부, 사업지구의 이면도로 활용의 적정성 여부, 사업지구 및 사업지구와 인접하는 교차로의 교통처리방식의 적정성 여부, 대중교통수단의 지원시설 설치위치 및 규모의 적정성 여부, 필요한 교통안전시설의 종류 및 설치위치의 적정성 여부, 도시교통정비기본계획, 도시계획 및 토지이용계획상의 교통계획이 지구단위계획 내용과 상충되는지 여부, 유발 교통량 분산처리를 위한 진출입구 또는 연결도로의 개설여부, 사업지구의 주변지역에 대한 교통장애요인 발생여부에 관한 분석 등

 

도시철도, 철도, 고속철도 등 건설사업

- 수송계획상 교통수요예측의 적정성, 이용인구의 행태분석, 화물이동 유형분석, 대합실, 통로, 보도, 차도 등을 포함한 해당시설의 이용가능인구 처리능력 한계분석, 수송수단 운영계획 검토, 하역시설, 차량의 대기공간, 부지 내 통로 등을 포함한 해당시설의 화물처리능력 한계분석, 수송수단운영계획 검토, 다른 교통수단과의 교통수요 역할 분담 및 연계수송처리 방안 강구, 주변도로에의 교통패턴 변화분석, 해당 사업의 건설에 따라 발생되는 지역분리 극복방안의 강구, 해당 사업의 건설에 따라 주변 교통시설 및 다른 교통수단에 미치는 교통수요의 변화 분석, 해당 사업의 건설에 필요한 연결 및 인입도로의 개설 필요성, 필요한 적정 교통안전시설의 종류 및 설치위치의 적정성 여부, 사업지구의 주변 교통장애요인의 발생여부에 관한 분석 등

 

도로건설사업

- 수송계획상 교통수요예측의 적정성, 이용인구의 행태분석, 화물이동 유형분석, 보도, 차도 등을 포함한 해당시설의 이용가능인구 처리능력 한계분석, 다른 교통수단과의 교통수요 역할 분담 및 연계수송처리 방안의 강구, 주변도로에의 교통패턴 변화분석, 해당 사업의 건설에 따라 발생되는 지역분리 극복방안의 강구, 해당 사업의 건설에 따라 주변 교통시설 및 다른 교통수단에 미치는 교통수요의 변화 분석, 해당 사업의 건설에 필요한 연결 및 인입도로의 개설 필요성, 필요한 적정 교통안전시설의 종류 및 설치위치의 적정성 여부, 사업지구의 주변 교통장애요인의 발생여부에 관한 분석 등

 

터미널, 항만, 공항 등 건설사업

- 수송계획상 교통수요예측의 적정성, 이용인구의 행태분석, 화물이동 유형분석, 대합실, 통로, 보도, 차도 등을 포함한 해당 시설의 이용가능 인구 처리능력 한계분석, 수송수단운영계획 검토, 하역시설, 차량 대기공간, 부지 내 통로 등을 포함한 해당시설의 화물처리능력 한계분석, 수송수단운영계획 검토, 다른 교통수단과의 교통수요 역할 분담 및 연계수송처리 방안의 강구, 주변도로에의 교통패턴 변화분석, 해당 사업의 건설에 따라 발생되는 지역분리 극복방안의 강구, 해당 사업의 건설에 따라 주변 교통시설 및 다른 교통수단에 미치는 교통수요의 변화 분석, 해당 사업의 건설에 필요한 연결 및 인입도로의 개설 필요성 , 필요한 적정 교통안전시설의 종류 및 설치위치의 적정성 여부, 사업지구의 주변 교통장애요인의 발생여부에 관한 분석 등

 

업무시설, 판매시설, 관람집회시설, 종교시설, 학교,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청사, 자동차시설, 통신시설 등 개별 건축물

- 사업지구 주변가로의 교통상황에 대비한 진출입구의 위치 적정 여부, 첨두시 유발교통량의 처리를 위한 완화차로의 규모 적정성 여부, 출입교통량의 분산처리를 위한 진출입구 수의 적정성 여부, 개별 건축물의 용도 복합정도에 따른 교통유발 원단위의 가중 또는 보정여부

, 사업지구 주변가로의 통행패턴 분석 및 사업지구의 유발교통량간 상충방지를 위한 진출입동선체계 구축, 주변가로와 교차로의 교통처리 한계능력의 분석, 적정 주차규모의 판단과 합리적인 주차장의 형태 제안, 사업지구의 주변 교통장애요인의 발생여부에 관한 분석 등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