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노변마찰로 인한 포화차두시간 손실

 

 개요
우회전 차로를 이용하는 차량들의 도로 이용효율은 우회전 차량 자체의 영향이나 교차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에 의한 방해 이외에도 노변 마찰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음
노변마찰에 의한 영향에는 버스에 의한 방해주차에 의한 방해진출입 차량에 의한 방해가 있으며이러한 영향은 차로이용율의 손실시간으로 계산

 


사진출처 : https://pixabay.com/


 노변마찰로 인한 포화차두시간 손실(LH)
1) 진출입 차량에 의한 방해시간(Ldw)
신호교차로 정지선 부근에 이면도로의 진출입로가 있는 경우 본선 교통류의 흐름에 방해를 주며진출입 교통량이 증가할수록 본선의 포화교통류율이 감소
진출입 차량에 의한 방해시간은 우회전의 포화차두시간에 비해서 증분된 시간이며정지선에서 60m이상의 진출입로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가정
2) 버스 정차로 인한 방해시간(Lbb)
버스 정류장에서 버스 정차로 인한 방해는 버스 정차가 일어나는 차로에 대해서만 적용
시간당 버스정차대수가 10대 이하정지선에서 75m이상이면 영향이 없는것으로 간주
3) 주차활동으로 인한 방해시간(Lp)
신호교차로 주변 주차 활동에 의해 차량의 정상적인 통행이 영향을 받게 되며이 영향은 정지선으로부터 75m이내에서 발생
4) 노변마찰의 종합

LH=(Ldw+Lbb+Lp)*g/c
여기서

LH=우측차로의 노변 마찰로 인한 포화차두시간 손실
g/c= 우회전이 포함된 차로군이 받는 녹색시간비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