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차로 도로의 효율적인 운용 및 개량시설 설치방안
▷ 개요
- 2차로 도로에서는 지체차량 증가, 앞지르기를 할 수 없는 상태, 서비스수준의 저하, 위험한 앞지르기 등 운행 및 안전상의 문제점이 발생하며, 2차로 도로를 4차로 이상의 도로로 확장하지 않더라도 운행에 대한 개선방안 및 개량시설 설치를 통하여 서비스 수준을 개선할 수 있음
▷ 효율적인 운용 및 개량시설 설치방안
1) 앞지르기 시거 확보를 위한 선형 개량
2) 좌회전 차로 및 우회전 차로 설치
3) 진행방향 앞지르기 가능구간, 대향방향 앞지르기 금지 차로 설치
4) 교차로의 효율적인 처리
5) 오르막 차로 설치
- 오르막 구간에서 대형차량의 속도 저차로 용량 감소 및 무리한 앞지르기 시도로 교통사고 원인 발생하므로 오르막 구간에서 저속차량과 성능이 좋은 차량을 분리하여 통행시키기 위하여 설치하는 부가차로
6) 턴아웃 설치
- 2차로도로의 한쪽 차로에 설치하여 저속차량의 양보를 유도하기 위한 시설로서, 상향경사, 하향경사, 평지에서도 설치 가능하며 턴아웃 설치시 상당량의 지체시간 감소 및 안전성 향상이 기대
7) 양보차로 설치
- 양보차로는 앞지르기 금지구간에서 저속차량을 위해 설치하는 도로로 국내의 경우 앞지르기 금지구간과 중차량이 많은 점을 고려할 때 2차로 도로 운영 개선방안으로 양보차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차량소통 증진 및 도로 안전성 제고 효과 기대
8) 짧은 4차로 구간 설치
9) 2+1차로 도로의 설치
- 2+1차로 도로란 방향별로 추월차로를 교대로 계속 제공하여 추월수요 해소를 통한 지체 감소와 정면 충돌사고를 줄일 수 있는 3차로 도로로서 기존의 추월차로 및 양보차로(오르막차로)와 다른 점은 추월차로를 반복적으로 제공하여 저속차량을 따르는 고속차량에게 주기적으로 추월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과, 저속차량은 본선을 따라 주행하고 고속차량(추월차량)은 추월차로를 통해 주행하게 하여 양보 운전 행태를 고려하고 있다는 점이다.
▷ 결론 및 제언
- 개선효과, 경제성 등 종합 검토 후 최적의 개선대안 도출
- 무분별한 확장 지양, 효율적인 운영, 시설개선이 우선
'교통기술사 > 03. KHCM'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수상황하에서의 포화교통류율 (0) | 2015.10.07 |
---|---|
중앙버스전용차로 설치시 포화교통류율 (0) | 2015.10.07 |
노변마찰로 인한 포화차두시간 손실 (0) | 2015.10.06 |
용량감소율(CRF: Capacity Reduction Factor) (0) | 2015.10.06 |
과포화주기(Cycle failure) (0) | 2015.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