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용량감소율(CRF: Capacity Reduction Factor)

 

 개념 및 정의

신호교차로에서의 점용공사는 상기 제 조건들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포화교통류율의 감소를 유발

특별히 위치별로 공사유형(차로 수 감소차로 폭 축소차로측방이동노면재질의 변화)에 따라 용량감소지점에서 용량감소율(CRF: Capacity Reduction Factor)을 유의해서 적용하여야 함.

 


사진출처 : https://pixabay.com/

 

용량감소율이란 도로점용공사로 인하여 상하류의 용량감소지점에서 발생하는 여러 영향(공사로 인한차로여건차량 및 인력의 드나듦)을 감안한 것으로 공사유형에 상관없이 모든 도로점용공사구간에 반영 

차로 수 감소에 대한 용량감소율은 차로 수 감소 유형에 따라 달리 적용

차로 폭 축소에 대한 감소율은 차로 폭 보정계수 적용

복공판이나 차로(측방)이동의 경우에는 설치 위치나 측방이동 횟수에 따라 용량감소율이 조금 다르게 나타나므로 단순화하여 적용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