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보행교통개선지표
▷ 정의
- 보행교통 개선지표란 지자체장이 보행교통 실태조사를 기초로 5년마다 수립하는 지표로서, 분야별․지역별 보행환경 실태를 파악하고 보행교통개선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을 말한다.
사진출처 : 픽사베이
▷ 분야별 보행교통 개선지표
- (이동성) 보행자가 보행공간에서 보행통행 목적을 위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
- (안전성) 보행자가 보행공간에서 차량, 범죄 등 위험요소로부터 생명과 신체의 안전을 보호받으며 걸을 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
- (쾌적성) 보행자가 보행공간에서 보행통행상의 방해를 받지 않고 쾌적함을 느끼며 걸을 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
분야 | 보행교통 개선지표 |
이동성 | 횡단 대기 시간 |
유효보도 폭 | |
보행용량 대비 보행교통류율 (보행속도×보행밀도) | |
안전성 | 보도설치율 |
가로등 설치 간격률 | |
적정 보행자녹색시간 확보비 | |
쾌적성 | 보도 노면상태 수준(노면패임, 보도블럭 파손, 고인물 등) |
보도 관리상태 수준(불법주차, 노점상, 무단적치물, 오물 등) | |
보행환경의 쾌적성 만족도(소음/매연/휴게시설/녹지, 가로수 등) | |
대중교통 정보제공 수준 |
반응형
'교통기술사 > 08. 대중교통, 보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행자전용길 (0) | 2016.02.22 |
---|---|
보행자길 (0) | 2016.02.22 |
환승시설, 환승센터, 환승지원시설 (0) | 2016.02.15 |
보행환경개선사업 평가방법 (0) | 2015.11.11 |
간선급행버스체계(BRT)의 체계시설 (0) | 2015.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