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보행자시설 서비스수준 분석

- 효과 척도

보행자도로 : 보행교통류율, 보행점유공간, 보행밀도, 보행속도

계 단 : 보행교통류율

대기공간 : 보행점유공간

신호횡단보도 : 평균 보행자 지체, 보행점유공간

 

1) 보행자 도로

- 보행자 도로의 효과척도는 보행교통류율, 보행점유공간, 보행밀도, 보행속도 등을 사용

- 실지의 도로 폭에서 이러한 방해부분을 제외한 보도폭(유효보도폭)을 산정하여 보행교통량을 보행교통류율로 환산하여 보행자 공간의 서비스수준을 판정



2) 계 단

- 계단의 주요 효과척도로는 보행교통류율을 사용

- 계단에서의 서비스수준은 계단에서 보행자가 군(platoon)을 형성하느냐의 여부에 따라 각각 다른서비스수준을 적용

- 계단의 서비스수준 산정을 위해서는 계단의 기하구조 및 보행교통량과 보행속도를 구하는 것이 필요

() 기하구조 및 교통 조건의 조사

- 계단의 운영상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자료를 수집

계단의 유효보도폭

계단의 수평 길이

보행교통량

보행 속도

보행군(platoon)의 형성 여부

() 서비스수준 분석절차

- 계단의 서비스수준 분석 절차는 다음과 같이 5단계로 나누어 분석

1단계 : 분석 대상 지역의 기하 구조를 측정

- 유효보도폭을 측정하기 어려운 경우 계단의 전체 폭 혹은 보행 가능 폭을 사용

2단계 : 첨두시간대의 첨두 15분 보행교통량을 관측한다.

3단계 : 분석 대상 계단에서 보행군(platoon)의 형성 여부를 관측한다.

- 분석 대상 계단이 터미널이나 환승역일 경우, 첨두 15분 관측보행량이 450/15/m이상일 때 보행군 형성으로 간주한다. , //m30인 이상인 경우로 한정

- 보행군은 주로 출 퇴근 시간의 지하철 환승역과 같은 대규모 교통유발시설과 같이 보행자의 통행수요가 많은 계단에서 관측되기 때문에 먼저, 계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현장 관측을 통해 보행군 형성여부를 결정

4단계 : 관측된 보행교통량을 분당 계단의 유효보도폭 또는 보행 가능 폭으로 나누어 보행교통류율(flow rate)로 환산한다.(//m)

5단계 : 보행군(platoon)의 형성 여부에 따라 서비스수준 결정

3) 대기공간

- 보행자는 대기공간에서 서비스를 받기 위해 일시적으로 대기하게 되며, 이 때 보행자가 느끼는 서비스수준은 각 보행자가 차지하는 점유공간과 관계된다. 따라서, 대기공간의 효과척도는 평균점유공간으로 한다.

- 대기공간의 서비스수준을 판정하기 위해서는 한사람이 차지하는 점유공간의 대소를 판단하여야 하는데, 이는 한국인의 표준체형을 근거로 한다.

- 대기공간의 서비스수준 분석절차는 다음과 같이 4단계로 나누어 분석

1단계 : 분석 대상 지역에서 대기공간을 설정

2단계 : 설정된 대기공간의 면적을 계산

3단계 : 분석시간을 10초에서 30초 간격으로 하여 대기공간 안의 최대 사람 수를 첨두 5분 동안측정

4단계 : 설정된 대기공간의 면적을 최대 관측 사람 수로 나누어 서비스수준을 판정

 

 

4) 신호횡단보도

- 신호횡단보도의 효과척도는 보행자가 차로를 횡단하기 위해 경험하는 평균지체를 사용

- 신호횡단보도의 효과척도인 평균지체는 횡단보행자수에 의해 추가적으로 지체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산출

- 신호횡단보도에서의 주 효과척도는 평균지체이지만, 횡단 시 보행자가 느끼는 혼잡정도를 표시하기 위해 보조 효과척도로 점유공간의 크기를 이용

- 신호횡단보도 서비스수준 분석절차는 보행자 평균지체를 이용하여 서비스수준을 판정하는 방법과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의 점유공간을 이용하여 서비스수준을 판정하는 방법이 있다.

- 보행자 평균 지체를 이용하여 서비스수준 분석하는 방법은 주로 횡단보도의 운영상태 분석을 위한 것이고

- 횡단보도 점유공간을 이용하여 서비스수준 분석을 하는 방법은 주로 적정한 횡단보도의 폭원을 구하기 위한 것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