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교통신호등 설치기준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 신호등의 종류, 만드는 방식 및 설치기준(7조제1항관련)

- 교통신호기 설치기준

- 차량신호등 설치기준

- 보행신호등 설치기준

 

차량등

- 1일 중 교통이 가장 빈번한 8시간 동안 주도로의 자동차 통행량이 시간당 600(양방향의 합계) 이상이고, 부도로에서의 자동차 진입량이 시간당 200대 이상인 교차로에 설치한다.

- 1일 중 교통이 가장 빈번한 8시간 동안 시간당 자동차 통행량이 600(양방향의 합계)이상이고, 횡단보도의 통행량이 가장 많은 1시간 동안 횡단보행자가 150명 이상인 경우에 설치한다.

- 신호등의 설치간격이 300미터 이상으로 인접신호등과의 연동효과를 기대할 수 없을 때 중간지점에 설치한다.

- 1일 중 교통이 가장 빈번한 8시간 동안 주도로의 자동차 통행량이 시간당 900(양방향의 합계) 이상이고, 부도로에서의 자동차 진입량이 시간당 100대 이상인 교차로로서 교차로 통과대기시간이 너무 긴 경우에 설치한다.

- 교통사고가 연간 5회 이상 발생한 장소로 교통 신호등의 설치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설치한다.

- 학교 앞 300미터 이내에 신호등이 없고 통학시간대 자동차 통행시간 간격이 1분 이내인 경우에 설치한다.

- 어린이 보호구역 내 초등학교 또는 유치원의 주출입문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횡단보도에 설치한다.

 

사진출처 : https://commons.wikimedia.org

 

보행등

- 차량신호기가 설치된 교차로의 횡단보도로서 1일중 횡단보도의 통행량이 가장 많은 1시간동안의 횡단보행자가 150명을 넘는 곳에 설치

- 번화가의 교차로, 역앞 등의 횡단보도로서 보행자의 통행이 빈번한 곳에 설치

- 차량신호만으로는 보행자에게 언제 통행권이 있는지 분별하기 어려울 경우에 설치

- 차도의 폭이 16미터 이상인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에서 차량신호가 변하더라도 보행자가 차도 내에 남을 때가 많을 경우에 설치

- 어린이 보호구역 등 내 초등학교 또는 유치원 등의 주 출입문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횡단보도

 

사진출처 : https://commons.wikimedia.org

 

자전거 신호등

- 자전거횡단도에 설치

- 자전거 횡단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지점에 자전거횡단도와 함께 설치

- 자전거도로에서 교통소통 및 안전상 삼색등 설치가 어려울 경우 인접 횡단보도에 자전거횡단도와 함께 설치


[별표 3] 신호등의 종류¸ 만드는 방식 및 설치기준(제7조제1항관련).hwp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