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린이 보호구역 정비 표준모델, 2016. 8, 국민안전처
[추진배경 및 목적]
- 어린이는 신체적으로 미성숙하고, 불안한 행동특성 등으로 인해 교통사고의 위험성이 높은 교통약자로 분류되고 있음
- 이로 인해 정부에서는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여러 가지 정책과 제도를 운영중에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것이 어린이 보호구역 제도임
- 간선도로에 위치한 어린이 보호구역의 경우 속도편차에 따른 사고위험 등을 고려, 제한속도를 탄력적으로 지정·운영 중이나,
- 일부 보호구역의 경우 원활한 교통소통 확보를 위해 제한속도를 일반도로와 동일하게 지정(60km/h)하는 사례가 많아 개선 필요
- 최근 5년간 교통사고로 인한 어린이 사망자는 전반적으로 감소추세이나 어린이 보호구역 내 사망자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음
- 어린이 통학로 안전을 확보하고 어린이 교통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어린이보호구역 시설기준 및 운영방안 재정립 필요
☞ 지역별, 유형별 특성에 맞는 「어린이 보호구역 정비 표준모델」 마련 |
▷ 어린이 보호구역 정비 표준모델 목 차
Ⅰ. 추진배경 및 목적
Ⅱ. 어린이보호구역 현황
1. 어린이보호구역의 정의
2. 어린이보호구역 지정 및 절차
3. 어린이보호구역 지정현황
4. 어린이보호구역 교통사고 현황
Ⅲ. 어린이보호구역 문제점
Ⅳ. 개선방안 및 표준모델
1. 어린이보호구역 유형분류
2. 어린이보호구역 안전시설 및 설치절차
3. 어린이보호구역 정비 표준모델(예시)
Ⅴ. 어린이보호구역 도로유지・관리방안
※ 부록
1. 어린이보호구역 안전시설
2. 초등학교 주변 도로 개선방안 예시
3. 유형별 점검 체크리스트
'교통업무 관련자료 > 지침 및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면교차로 설계 지침, 2015. 12, 국토교통부 (0) | 2016.12.08 |
---|---|
도로와 다른 시설의 연결에 관한 규칙(2014.12.29.국토교통부) (0) | 2016.11.23 |
건설공사 타당성 조사 지침 (0) | 2016.11.16 |
생활권 이면도로 정비사업 추진지침(생활도로구역(30구역) 지정기준 및 안전시설 설치기준) 2015. 9. 국민안전처, 경찰청 (0) | 2016.11.09 |
보행환경개선사업 효과평가 매뉴얼, 2015. 11, 국민안전처 (0) | 2016.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