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차량운행비용 절감편익

편익의 개념

-  사업시행으로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운행비용을 계량화

사진출처 : 픽사베이

편익산정방법

타당성 평가에서 산정하는 차량운행비용 절감편익은 크게 유류비, 엔진오일비, 타이어마모비, 유지관리비, 감가상각비로 구분

통행배정결과 사업시행 전 후 각 링크의 통행속도와 차종별·속도별 차량운행비용원단위를 적용하여 분석 대상사업으로 인한 차량운행비용 절감편익을 산정

차량운행비용은 분석 대상 사업의 직접 영향권 내 링크를 대상으로 통행배정 작업의 결과로 산출된 주행속도와 교통량을 이용하여 주행속도에 따른 차량운행비용 원단위를 적용하여 산출한

, 이 경우 고속도로의 주행속도는 통행료를 제외한 순수한 통행시간을 토대로 다시 산정하여야 한다.

차종별 링크 주행속도는 상이한 것이 현실적이나 현재의 통행배정 모형하에서 이를 반영하기는 어려우므로 차량편익 산정을 위한 차종별 속도의 구분은 없는 것으로 전제

분석 각 년도의 차량운행비용 절감편익(VOCS) 계산은 다음과 같음



반응형

'교통기술사 > 06. 교통경제,민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승센터의 편익 산정  (0) 2015.12.29
교통사고 감소편익  (0) 2015.12.29
통행시간 절감 편익  (0) 2015.12.29
도로와 철도의 편익 항목  (0) 2015.12.29
주차비용 절감 편익  (0) 2015.12.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