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차로 도로의 유형 및 총지체율
▷ 2차로 도로의 유형
- 2차로도로는 중앙선을 기준으로 각 방향별로 한차로씩 운행되는 도로로 교통류 특성 및 신호교차로 간격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구분,
- 유형1은 연속류 특징, 주로 고속도로와 같은 고규격 도로,
- 유형2는 기본적으로 연속류 구간에 단속류 특징이 가미된 도로, 신호교차로간 간격이 2km이상인 도로,
- 유형3은 도로주변이 개발된 지역의 접근성을 강조하는 단속류 특징의 도로, 신호교차로간 간격이 2km 미만인 도로를 의미함
사진출처 : https://pixabay.com/
▷ 2차로 도로의 총지체율
1) 총지체율의 정의
- 2차로도로 내에서는 차량들이 도로를 운행하는 동안 저속차량으로 인한 차량군이 형성하며, 차량군내의 차량들은 운행이 자유롭지 못하여 지체가 발생
- 총지체율이란, 일정구간을 운행하는 차량군 내에서 차량이 평균적으로 지체하는 비율을 말하며, 운전자가 희망하는 속도에 대한 지체정도를 표현하는 효과척도임.
2) 교통량에 따른 총지체율의 변화
- 교통량이 적은 경우 차량의 지체가 거의없고 평균 차두간격이 크며 앞지르기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총지체율은 낮게 나타나며, 교통량이 많은 경우 용량에 가까울수록 앞지르기 기회가 줄어들어 차량군이 형성되므로 총 지체율은 높아짐
3) 총지체율 산정공식
- 총지체율은 현장 자료를 사용하는 방법과 이론식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음
- 현장자료를 사용하는 식
- 이론식
'교통기술사 > 03. KHC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호교차로에서의 마찰 (0) | 2015.10.05 |
---|---|
회전교차로 간격 유형 및 조사방법 (0) | 2015.09.07 |
포화교통류율(saturation flow rate) (0) | 2015.08.25 |
연동계수(PF) (0) | 2015.08.17 |
유효녹색시간VS최소녹색시간 (0) | 2015.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