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교통수단 선정
▷ 신교통수단 도입의 문제점
1. 경전철 도입을 충분한 수요 검토 없이 경쟁적으로 추진하여 막대한 재정적자 발생
ㅇ 지자체 단체장의 선심성 공약인 경전철 도입을 지자체 재정부족으로 민자사업 형태로 추진
ㅇ 담당자의 전문성 부족으로 제대로 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사업추진을 위하여 수요를 과다하게 예측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
2. 다양한 신교통수단에 대한 고려 부족
ㅇ 현재는 바이모달트램, 노면전차 등으로 도시 규모와 노선 특성의 다양성에 대응할 수 있는 신교통수단이 등장
ㅇ 국가 R&D 사업을 통해 고무차륜 AGT, 바이모달트램이 개발·완료되었으며, 무가선저상트램,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등도 곧 개발·완료될 예정
3. 최소운영수입보장은 폐지되었으나 여전히 많은 지자체에서 경전철 도입을 검토 중
ㅇ 경전철 도입 관련 규정이 느슨하고 도시철도 사업에 대한 국비지원 규정이 지자체의 경전철 도입 검토에 영향을 줌
4. 경전철 도입 기준의 획일성과 지자체에서 신교통수단을 비교하여 검토할 수 있는 지침의 부재
ㅇ 타당성 조사 이전 단계에서 지자체 담당자가 여러 다양한 신교통수단 중 가장 적정 수단을 판단할 수 있는 근거 자료가 부재

▷ 신교통수단 도입 가이드라인의 주요 내용
1. 신교통수단 도입 가이드라인이란
ㅇ 가이드라인은 신교통수단 도입 시 고려해야 할 판단기준을 체계적으로 제시하여 도시별 특성 및 여건에 부합하는 교통시스템 선정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ㅇ 재무적 운영 가능성, 첨두교통수요처리 여부 등 총 6단계의 검토로 구성
ㅇ 가이드라인은 지자체가 특정 교통시스템 도입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적정 신교통수단을 판단할 수 있도록 사용
ㅇ 예비타당성조사 등 기존 제도를 적용하는 단계 이전에 지자체 담당자가 직접 적용
2. 신교통수단 선정 가이드라인 주요내용
① 직·간접 영향권 설정 및 영향권 인구 산정
ㅇ 도시 전체 인구를 기준으로 하던 기존 제도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신교통수단 노선을 중심으로 영향권 인구를 산정
② 운영비 충족 가능 수단 선택
ㅇ 예상수입으로 최소한 연간 운영비를 충족할 수 있는 신교통수단을 선택
ㅇ 도입 노선의 ‘영향권 인구’가 ‘운영비 충족 영향권 인구’ 이상인 경우 운영비 충족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
③ 총사업비 충족 가능 수단 선택
ㅇ 운영기간 동안 예상수입으로 총사업비(운영비와 건설비의 합)에 대한 회수 가능성을 판단하고, 총사업비 회수가 불가능할 경우 필요한 지원규모를 파악하여 지자체 등 도입주체가 부담할 수 있는 범위 내애서 신교통수단을 선택
ㅇ 예상수입으로 총사업비 충족이 불가능한 경우, 도입노선의 영향권 인구를 기준으로 총사업비 충족을 위해 지원되어야 할 재원규모와 교통수단별 국고보조금 규모를 고려하여 지자체 등이 부담하여야 하는 재원규모를 검토
▷ 기대효과
ㅇ ‘신교통수단 도입 가이드라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도시 및 노선 특성에 부합하는 적정 신교통수단을 도입하여 지속가능한 도시성장을 유도
- 영향권 인구, 재무적 운영 가능성 및 재정부담비율, 첨두시 교통수요처리 여부 등의 검토 기준을 활용하여 재정적으로 건전한 도시 운영을 유도
- 가이드라인을 통해 신도시뿐만 아니라 도시재생 차원에서 기존 시가지에 적합한 신교통수단을 선택할 수 있음
ㅇ 수요를 넘어서는 과도한 신교통수단 도입에 따른 재정적자 유발 및 도시 재정 위기를 방지
- 지자체 단체장의 선심성 공약이나, 담당자의 전문성 부족으로 비롯된 부적절한 신교통수단 도입을 방지
- 과다수요예측, 최소운영수입보장(MRG), 과잉시설투자 등에 따른 적자보전액 발생을방지
ㅇ 신교통수단이 날로 새롭게 개발되는 데 대응하여 ‘신교통수단 도입 가이드라인’을 갱신해감으로써 도시 교통수단의 다양화를 유도
★신교통수단_선정_가이드라인[1].hwp
신교통수단선정가이드라인_안내서.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