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회전교차로 용량 분석 모형

1. 회전교차로 용량분석 모형

- 회전교차로의 용량분석 모형은 경험적 모형(Empirical Models)과 분석적 모형(Analytical Models)으로 구분

- 경험적 모형은 회귀모형(Regression Models)과 같이 교차로의 기하구조 특성과 효과척도-용량과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표현한 모형

- 분석적 모형은 운전자의 운전특성과 효과척도-용량과의 관계를 간격수락이론(Gap Acceptance Theory)에 근거하여 구현한 모형


사진출처 : 픽사베이


2. 회전교차로 용량분석 모형의 적용(KHCM)

- 회전교차로 기하구조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회전교차로 설계지침에 준하여 준공된 다수의 회전교차로에서 지속적으로 현장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해야 함.

- 그러나 기본 조건의 기하구조를 갖는 회전교차로의 수가 부족하고 통행우선권 등의 운영원리도 확립이 되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경험적 모형을 쓰기에는 어려운 실정임

- 따라서 기본 조건으로 설치된 일부 회전교차로에서 운전자의 특성을 조사하고, 기하구조 특성은 모의실험을 통해 얻은 파라메터값을 이용하여 분석적 모형을 구축하여 사용



반응형
반응형

 특수상황하에서의 용량


 개념(산정개요)

도로 용량의 감소요인으로 작용하는 대표적인 특수상황으로는 공사구간기상악화(악천후), 야간에 의한 영향이 있으며

공사구간의 경우 차로수 차단 등 일반적인 정상상황과 용량 값이 상이하므로 별도 산정이 필요하므로

특수상황하에서의 용량은 일반적인 정상상황에서의 용량 또는 공사시 공사구간의 용량에 날씨보정계수(fiw) 및 주야간영향 보정계수(fDK)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산정


 특수상황하에서의 용량산정

공사구간의 용량

특수상황하에서의 용량



반응형
반응형

 특수상황하에서의 포화교통류율


 개념(산정개요)

도시가로의 차량 흐름과 용량은 통상적인 분석에서 주어진 도로 및 교통 조건과 제어 조건 외에 도로운영 조건의 일시적인 변화나 환경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도시가로에서의 도로점용공사와 기상악화 등이 그 대표적인 조건들이 될 수 있는데상황 발생이 어느 정도 사전적으로 예측 가능한 이러한 특수상황에 대한 고려가 단속류 시설의 운영분석절차 내에 포함될 필요가 빈번히 있게 된다.

이러한 상황을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도로점용공사는 교차로 신호영향권 내에서 정지선 포화교통류율에 영향을 미치는 대부분의 공사유형을 포함하고악천후는 강우 및 강설 등의 상황은 포함하나 도시가로 주위의 최소한의 밝기 때문에 어둠은 제외하기로 한다그러므로 도로점용공사 및 강우강설 등 악천후의 영향을 반영한 포화교통류율은 정상적인 상황에서의 계획 및 운영분석에 쓰이는특정 차로그룹의 포화교통류율에 공사영향 보정계수나 날씨 보정계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산정하도록 한다.


-도로 용량의 감소요인으로 작용하는 대표적인 특수상황으로는 

  공사구간기상악화(악천후), 야간에 의한 영향이 있음

-신호교차로의 경우 대부분 도시내에 위치하며최소한의 밝기를 유지하므로 야간에 의한 영향은 배제

-따라서특수상황하에서의 포화교통류율은 

  정상 상황에서의 포화교통류율에 공사구간의 영향보정계수(fwz)와 

  기상악화에 의한 날씨보정계수(fiw)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산정


 특수상황하에서의 포화교통류율 보정

 



반응형
반응형

 중앙버스전용차로 설치시 포화교통류율


 개념(산정개요)

중앙버스전용차로는 버스만 이용하므로 기본 포화교통류율 값이 일반차로와 상이하며

중차량 보정계수를 적용하지 않아도 되며

버스 정류장이 정지선에 근접하여 위치할 경우 녹색신호시 승객 승하차로 인해 용량저하의 원인이 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상류부 정리장 이격거리에 대한 영향을 반영

국내의 경우 기본포화교통류율은 1100vphgpl .


 중앙버스전용차로 포화교통류율 보정



반응형
반응형

 2차로 도로의 효율적인 운용 및 개량시설 설치방안

 개요
- 2차로 도로에서는 지체차량 증가앞지르기를 할 수 없는 상태서비스수준의 저하위험한 앞지르기 등 운행 및 안전상의 문제점이 발생하며, 2차로 도로를 4차로 이상의 도로로 확장하지 않더라도 운행에 대한 개선방안 및 개량시설 설치를 통하여 서비스 수준을 개선할 수 있음


 효율적인 운용 및 개량시설 설치방안
1) 앞지르기 시거 확보를 위한 선형 개량
2) 좌회전 차로 및 우회전 차로 설치
3) 진행방향 앞지르기 가능구간대향방향 앞지르기 금지 차로 설치
4) 교차로의 효율적인 처리
5) 오르막 차로 설치

 - 오르막 구간에서 대형차량의 속도 저차로 용량 감소 및 무리한 앞지르기 시도로 교통사고 원인 발생하므로 오르막 구간에서 저속차량과 성능이 좋은 차량을 분리하여 통행시키기 위하여 설치하는 부가차로
6) 턴아웃 설치

 - 2차로도로의 한쪽 차로에 설치하여 저속차량의 양보를 유도하기 위한 시설로서상향경사하향경사평지에서도 설치 가능하며 턴아웃 설치시 상당량의 지체시간 감소 및 안전성 향상이 기대


7) 양보차로 설치

- 양보차로는 앞지르기 금지구간에서 저속차량을 위해 설치하는 도로로 국내의 경우 앞지르기 금지구간과 중차량이 많은 점을 고려할 때 2차로 도로 운영 개선방안으로 양보차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차량소통 증진 및 도로 안전성 제고 효과 기대



8) 짧은 4차로 구간 설치
9) 2+1차로 도로의 설치 

- 2+1차로 도로란 방향별로 추월차로를 교대로 계속 제공하여 추월수요 해소를 통한 지체 감소와 정면 충돌사고를 줄일 수 있는 3차로 도로로서 기존의 추월차로 및 양보차로(오르막차로)와 다른 점은 추월차로를 반복적으로 제공하여 저속차량을 따르는 고속차량에게 주기적으로 추월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과저속차량은 본선을 따라 주행하고 고속차량(추월차량)은 추월차로를 통해 주행하게 하여 양보 운전 행태를 고려하고 있다는 점이다.



 결론 및 제언
개선효과경제성 등 종합 검토 후 최적의 개선대안 도출 
무분별한 확장 지양효율적인 운영시설개선이 우선

반응형
반응형

 노변마찰로 인한 포화차두시간 손실

 

 개요
우회전 차로를 이용하는 차량들의 도로 이용효율은 우회전 차량 자체의 영향이나 교차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에 의한 방해 이외에도 노변 마찰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음
노변마찰에 의한 영향에는 버스에 의한 방해주차에 의한 방해진출입 차량에 의한 방해가 있으며이러한 영향은 차로이용율의 손실시간으로 계산

 


사진출처 : https://pixabay.com/


 노변마찰로 인한 포화차두시간 손실(LH)
1) 진출입 차량에 의한 방해시간(Ldw)
신호교차로 정지선 부근에 이면도로의 진출입로가 있는 경우 본선 교통류의 흐름에 방해를 주며진출입 교통량이 증가할수록 본선의 포화교통류율이 감소
진출입 차량에 의한 방해시간은 우회전의 포화차두시간에 비해서 증분된 시간이며정지선에서 60m이상의 진출입로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가정
2) 버스 정차로 인한 방해시간(Lbb)
버스 정류장에서 버스 정차로 인한 방해는 버스 정차가 일어나는 차로에 대해서만 적용
시간당 버스정차대수가 10대 이하정지선에서 75m이상이면 영향이 없는것으로 간주
3) 주차활동으로 인한 방해시간(Lp)
신호교차로 주변 주차 활동에 의해 차량의 정상적인 통행이 영향을 받게 되며이 영향은 정지선으로부터 75m이내에서 발생
4) 노변마찰의 종합

LH=(Ldw+Lbb+Lp)*g/c
여기서

LH=우측차로의 노변 마찰로 인한 포화차두시간 손실
g/c= 우회전이 포함된 차로군이 받는 녹색시간비



반응형
반응형


 용량감소율(CRF: Capacity Reduction Factor)

 

 개념 및 정의

신호교차로에서의 점용공사는 상기 제 조건들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포화교통류율의 감소를 유발

특별히 위치별로 공사유형(차로 수 감소차로 폭 축소차로측방이동노면재질의 변화)에 따라 용량감소지점에서 용량감소율(CRF: Capacity Reduction Factor)을 유의해서 적용하여야 함.

 


사진출처 : https://pixabay.com/

 

용량감소율이란 도로점용공사로 인하여 상하류의 용량감소지점에서 발생하는 여러 영향(공사로 인한차로여건차량 및 인력의 드나듦)을 감안한 것으로 공사유형에 상관없이 모든 도로점용공사구간에 반영 

차로 수 감소에 대한 용량감소율은 차로 수 감소 유형에 따라 달리 적용

차로 폭 축소에 대한 감소율은 차로 폭 보정계수 적용

복공판이나 차로(측방)이동의 경우에는 설치 위치나 측방이동 횟수에 따라 용량감소율이 조금 다르게 나타나므로 단순화하여 적용



반응형
반응형

 과포화주기(Cycle failure), 주기과포화 현상

 

 개념 및 특징


신호교차로에서 한 주기동안 도착한 교통량이 가장 가까운 녹색시간 동안 정지선을 다 벗어나지 못한 경우를 의미하며,

  이 때의 주기를 과포화 주기라고 함


사진출처 https://pixabay.com/


신호교차로 서비스수준 분석 시 분석기간 내 몇몇 과포화 주기는 과포화 지체를 유발하며

    이는 증분지체에 포함되어 신호교차로 MOE인 증분지체에 반영


또한과포화주기는 대기행렬을 발생시키므로

   초기 대기차량이 방출되는 동안 분석기간 동안 도착한 차량이 감당해야 하는 추가지체를 발생시킴




반응형
반응형

 제어지체 (Control Delay)


 개념

제어지체란신호교차로 접근부에서 감속지체 및 정지지체출발시에 가속지체를 모두합한 지체를 말하며

분석기간 이전에 남아있던 대기행렬의 영향도 포함

분석기간 동안 도착한 차량이 받는 평균 제어지체를 말하며신호교차로 서비스 수준 분석의 MOE



사진출처 : https://pixabay.com/


 평균제어지체의 산정

d=d1(PF)+d2+d3

여기서

d=평균제어지체(/)

d1=균일제어지체(/)

PF=신호연동에 의한 연동보정계수

d2=임의도착 및 과포화 지체를 포함한 증분지체(/)

d2=분석기간 이전 잔여 대기행렬로 인한 추가지체(/)


1) 균일제어지체

주어진 교통량이 정확하고 일정하게 도착한다고 가정하였을때차량이 받는 차량당 평균접근지체


2) 증분지체

비균일 도착에 의한 임의지체와 분석기간 내에 몇몇 과포화 주기에 의한 과포화 지체를 포함한 지체

따라서분석기간 시작과 끝에는 잔여 대기행렬이 없는 상태


3) 추가지체

분석기간 이전 남아있던 잔여 대기행렬로 인해 분석기간 동안 도착한 차량들이 받는 추가적인 지체

   


반응형
반응형

 신호교차로에서의 마찰

1. 개념
신호교차로에서 모든 회전차로 및 노변차로는 교통류 내부 및 외부마찰에 의한 이동효율이 감소

따라서신호교차로 서비스수준 분석에서 회전차로의 직진환산계수 산정 및 우회전차로의 노변마찰에 의한 포화차두시간 손실 산정시 이러한 마찰영향을 반영함




사진출처 : https://pixabay.com/


 내부마찰
내부마찰이란 차량상호간또는 횡단 보행자와의 간섭또는 도로조건으로 인한 포화차두시간의 증가를 말함

따라서좌회전차로의 경우 내부마찰이 거의 대부분임


 외부마찰
외부마찰이란 도로변의 버스정차주차활동이면도로의 진출입차량으로 인한 포화차두시간의 증가를 말함

우회전 차로의 경우 일반적으로 내부마찰 및 외부마찰을 받으며우회전이 없거나 금지된 접근로의 경우 외부마찰만 받음.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