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트롤리 딜레마(trolley dilemma)

 

자율주행의 윤리적 딜레마(Trolley Problem)

 

1. 자율주행 자동차에 탑승하고 주행 도중 사고가 발생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발생

2. 자동차의 앞으로는 여러 사람들이 길을 건너고 있으며 속도가 높아 멈출 수가 없을 때

 

자율주행 자동차는 보행자를 선택하거나, 탑승자를 선택하며 둘 중 하나는 사망

보행자들을 지키기 위해 차를 옆으로 꺽어 벽에 부딪히게 만든다.(보행자 우선 / 탑승자 사망)

탑승자를 지키기 위해 차를 그대로 직진한다. (탑승자 우선 / 보행자 사망)

 

이 때 응급 상황에서 누구를 희생시켜야 할지에 대한 딜레마가 바로 트롤리 딜레마임.

 

[참고]

SBS, [카드뉴스] '누구를 죽일지 선택하라'자율주행자동차의 딜레마 (2015.10.26)

http://news.naver.com/main/read.nhn?oid=055&sid1=103&aid=0000341472&mid=shm&cid=428291&mode=LSD&nh=20151026192030


반응형
반응형

 보행사고 감소를 위한 추진전략

 

[자료 : 2017 보행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시설 설치 가이드북, 경찰청, 도로교통공단]

 

보행자와 자동차의 상충을 감소시키고 보행자의 안전 및 이동성을 증진시키는 전략은 크게 4가지로 나뉨

자동차에 노출되는 보행자 감소

자동차와 보행자와의 시인성 증진

자동차의 속도감소

보행자 및 운전자의 안전의식 개선

 

[사진출처 : http://ulsannuri.tistory.com]

 

[전략1] 자동차에 노출되는 보행자 감소

도로에서의 사람과 재화의 이동은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으로 필수 불가결하지만, 이러한 이동은 교통사고로 이어질 수 있음

자동차의 주행경로 등에 보행자가 노출되면 보행자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어, 직접적인 노출을 감소시켜야 함

 

[전략2] 자동차와 보행자와의 시인성 증진

보행자가 지장물, 불법주정차 차량 등에 가려져, 운전자가 보행자를 인식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행자의 시인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시설개선이 필요

또한, 보행활성화는 보행사고를 감소시키는 하나의 방법임. 보행자가 많으면 운전자에게 보행자가 계속 눈에 띄고 운전자는 조심하여 서행 운전하게 되며, 서행운전을 할 경우 주변을 볼 수 있는 시야가 넓어지고 돌발상황에 쉽게 대처할 수 있음(제이콥스, 2003)

 

[전략3] 자동차 속도감소

속도가 보행자 사고의 삼각도에 결정적 역할을 함으로 보행사고 심각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차량 속도저감기법을 적극적으로 고려(ETSC)

- 충돌속도가 45km/h 이상일 경우 생존가능성이 50% 이하

- 30km/h 이하일 경우 생존가능성이 90% 이상

또한, 주택가, 이면도로 등 일상생활과 밀접한 생활도로의 속도를 낮추는 방법도 고려해야 함

 

보행자 및 운전자의 안전의식 개선

자동차 운전자들의 보행자에 대한 배려나 보호의지 등 교육홍보를 통한 안전의식을 개선시켜 나가야 함

- 보행사고 위험요인을 고려한 타겟형 집중단속으로 보행자 보호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 제고

보행자는 도로 위에서 자신의 위주로 상황을 판단하는 경향이 높아 멀리서 자동차가 다가오면, “자동차가 오기 전에 길을 건널 수 있다또는 자동차가 알아서 속도를 줄이겠지등의 오판을 함

-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모든 보행자가 안전한 보행습관을 몸에 익힐 수 있도록 범국민 문화캠페인 전개

- 안전한 도로는 운전자와 보행자 모두 법규를 지켰을 때 만들어 지는 것임

(횡단보도에서와 달리 무단횡단하는 경우는 운전자가 알아차리지 못함)

반응형
반응형

 도로부문 지능형교통체계 설계편람, 2016, 국토교통부

 

- 목적

본 편람은 육상 교통부문 ITS 구축을 위한 계획, 조사, 설계 단계의 업무 절차 및 내용에 관하여 일반적이고 표준 적인 기준 및 실무 활용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ITS 시행기관에서는 본 편람을 토대로 각 ITS 시행범위에 대한 도로, 교통조건 등을 고려하여 해당 업무를 수행함

본 편람은 ITS 설계를 위한 참고자료로서, [ITS 사업시행지침] 등 상위기준을 실무에서 올바르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음

- 적용범위

본 편람은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77조 교통체계지능화 사업의 일환으로 구축하는 지능형교통체계 서비스, 시스템, 시설물 등에 적용함

 

[사진출처 : http://www.etsi.org/]

 

1편 총 론

1. 개 요

. 목적

. 적용범위

. 대상시스템

. 편람구성

2. ITS 설계절차

3. 용어정의

4. 주요 ITS

. 교통관리 서비스분야

. 대중교통 서비스분야 : 버스정보시스템(BIS)

. 전자지불 서비스분야 : 전자통행요금시스템(ETCS)

2편 교통부문

1. 개 요

. 교통설계의 개념 및 필요성

. 교통부문 설계의 지위

. 교통설계의 공간적 범위

. 교통부문 설계의 내용 및 절차

2. 문제의 인식 및 현황분석

. 도시일반현황 분석

. 교통현황 분석

. 문제점 진단

3. 기 구축 시스템 현황분석

. 현황조사

. 분석 및 평가

4. 장래 여건변화 검토

. 교통정책 검토 ·

. ITS 계획 검토

. 기술개발 동향 분석

5. 기본방향 정립

. 현황진단

. ITS 목표 설정

. 개선전략 수립

. 서비스 선정

. 시스템 구상

6. 시스템별 교통전략

3편 교통정보시스템

1. 개 요

. 개 념

. 기본 구성체계

. 적용범위

. 관련기준

2. 교통관리전략

. 교통정보제공의 의미

. 교통정보의 기능

. 교통전략 일반화

. 돌발상황처리 시간과 대기행렬 예측

. 교통관리 원칙

3. 교통자료 수집

. 교통자료 수집방안

. 지점검지체계

. 구간검지체계

. 자료수집 주기 선정기준

4. 영상정보 수집

. 개 요

. 설계절차

. 단계별 설계기준

5. 교통정보 가공처리

. 지점검지자료의 처리 및 가공

. 구간검지자료의 처리 및 가공

. 데이터 퓨전(Data Fusion)

. 정보가공 단위구간 설정

6. 교통정보 제공

. 교통정보 제공매체

. 도로전광표지(VMS)

7. 교통정보 연계

8. 운영 및 유지관리

. 영상정보수집장치(CCTV)

. 도로전광표지(VMS)

4편 버스정보시스템

1. 개 요

. 개요

. 기본 구성체계

. 시스템 요구기능

. 적용범위

. 관련 기준

2. 버스정보시스템 설계 기본전략

. 기본방향 정립

. 이용자 서비스 선호도 조사

. 상세설계

. 주요 고려사항

3. 버스정보 수집

. 수집정보

. 버스위치 추적기술의 종류 및 특징

. 무선통신기술의 종류 및 특징

. 차량위치추적 및 무선통신 방식 선정시 고려사항

. GPS 좌표개선 및 음영처리 기법

. 버스정보 수집 주기 결정

4. 버스정보가공

. 운행시간 및 통행속도 산출

. 도착예정시간 산출

. 앞뒤차 운행간격 산출

. 버스운행 위반정보 산출

. 막차시간 산출

5. 버스정보제공

. 운전자 단말기

. 차내 정보안내기

. 버스정류소 안내단말기

. 인터넷, 스마트폰 등 기타 정보안내 시스템

6. 시스템 구성

. 주요 기능

. 서브시스템

7. 성능의 보장

5편 터널영상유고감지시스템

1. 개 요

. 정 의

. 기본 구성체계

. 시스템 요구기능

. 적용범위

. 관련 기준

2. 터널영상유고감지시스템 설계기본 전략

. 기본방향 정립

. 상세설계

. 주요 고려사항

3. 터널 내 정보수집

. 수집 영상 및 영상전송 기술

. 영상수집 범위

. 영상감지 시간

4. 유고상황정보 판단(수집정보 가공분석)

. 영상기반 감지알고리즘

. 수집영상 분석 항목

. 영상감지 거리 및 감지영역 설정

5. 유고상황정보 제공

. 유고상황 판단 및 정보연계

. 유고관련 분석 정보

6. 유고감지기술의 조합

7. 영상유고감시시스템의 성능의 보장

6편 주차정보시스템

1. 개 요

. 개 요

. 기본 구성체계

. 시스템 요구기능

. 적용범위

. 관련 기준

2. 주차정보시스템 설계기본 전략

. 기본방향 정립

. 상세설계

. 주요 고려사항

3. 주차장 내 정보수집

. 주차장 정보수집 기술 및 수집정보

4. 주차정보 가공 및 분석

5. 주차정보제공

. 현장 시설물 기반 정보제공

. 유무선 인터넷 기반 정보제공 및 정보의 연계

. 주차정보제공 항목

6. 주차정보시스템의 성능의 보장

7편 불법주정차자동단속시스템

1. 개요

. 정의

. 시스템 개념

. 적용범위

. 참조문서

2. 불법주정차단속시스템 설계 기본전략

. 기본방향 정립

. 상세설계

3. 시스템 유형 및 설치위치 선정

4. 시스템 설계

. 고정식 시스템 설계기준

. 버스탑재형 시스템 설계기준

8편 센터시스템 부문

1. 개요

2. 센터 건축계획

. 구축방향

. 입지선정

. 센터 규모산정

. 센터 공간배치

. 부대설비

3. 센터시스템 설계

. 개요

. 하드웨어(H/W) 시스템

. 네트워크 시스템

. 상용소프트웨어

. 응용소프트웨어 개발

. 데이터베이스 구축

. 정보연계

9편 전기/토목 부문

1. 전기부문

. 전원

. 접지

. 서지보호기 및 피뢰

2. 토목


도로부문_지능형교통체계_설계편람_2016.pdf 

반응형
반응형

 고속도로 교통안전시설물 설치 매뉴얼경찰청, 도로교통공단. 한국도로공사

 

 

- 본 매뉴얼은 교통안전표지 등의 시설물에 대하여 고속도로(고속국도) 구간에

적용할 표준 설치 매뉴얼로써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최적의 설치방안을

도출하고 교통안전표지 설치 시 혼동이 발쟁되는 지점에 대한 직관적 기준을

제시하여 보다 명확한 교통안전시설물의 설치를 목적으로 한다.

- 기존의 교통안전시설물 설치 · 관리 매뉴얼(경찰청)에 제시된 기준을 기반으로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현장에 적용 가능하도록 세부 설치 방안을 제시한다.

- 또한 관련기관 담당자의 직무변경으로 인한 혼란을 최소화하며안전시설

설치·관리의 일관성을 유지하고자 한다.


 

1장 서 론

1 .목 적

2. 관련 근거

3. 적용 범위

4. 협의 순서

2장 주요내용

1 . 교량 구간

2. 터 널 구간

3. 본선 진입 구간

4. 본선 진출 구간

5. 본선 곡선 구간

6. 톨게이트 구간

6.1 본선 톨게이트 진입 전

6.2 요금소 구간

6.3 국도에서 IC로 진입 시

7. 휴게소 구간

8. 졸음쉽터 구간

3장 부록

1 . 교통안전표지 점검 목록표(양식

고속도로 교통안전시설물 설치 매뉴얼(최종).pdf


반응형
반응형

 2017 보행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시설 설치 가이드북, 경찰청, 도로교통공단

 

본 가이드북은 보행자의 안전하고 편리한 도로 이용과 보행

사고 감소를 위해 도로 ·교통안전시설의 적절한 설계 가이드라인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1장 안전시설 설치전략

1절 개요

1. 보행안전을 위한 안전시설 설계

2. 보행사고 감소를 위한 추진전략

2절 도로형태별 안전시설 설치전략

1. 교차로 부근

2. 횡단보도 부근

3. 단일로

4. 보행로

5. 불법 주정차

6. 지방부 마을입구 부분

7. 기타

3절 도로유형별 안전시설 설치전략

1. 도로유형1 : 3m 미만 도로

2. 도로유형2 : 3m 이상 ~ 6m 미만 도로

3. 도로유형3 : 6m 이상의 도로




2장 안전시설 설계기준

1절 횡단시설

1. 보행편의를 위한 횡단보도 설치 확대

2. 주의표지[횡단보도], 지시표지[횡단보도], 노면표시[횡단보도예고] 등 설치

3. 횡단보도 앞 정지선표시(530) 이격거리 확대

4. 횡단보도 앞 정차주차금지 구역 설정

5. 노면표시 재도색

6. 횡단보도 전 속도저감시설 설치

7. 이면도로의 험프형(고원식) 횡단보도

8. 보행동선과 횡단보도의 연결

2절 신호운영

1. 정상신호 운영 (차량신호기)

2. 점멸신호 운영 (차량신호기)

3. 보행신호 운영 (보행자신호기)

4. 전방신호기 설치

5. 연동신호 제어

6. 신호주기 단축

7. 보행등잔여표시장치

8. 보행자작동신호기

9. 보행자자동인식 신호기

10. 보행시차제 적용

11. 보행신호 1주기 2회 부여

12. 횡단보도 보행 전() 시간 부여

13. () 적색신호 부여

14. 차량 전() 신호 부여(단일로 위주)

15. 보행신호 중첩

3절 무단횡단금지시설

1. 중앙분리대 및 보행자용 방호울타리

2. 무단횡단 금지시설

4절 속도저감시설

1. 과속방지턱

2. 고원식 교차로

3. 고원식 횡단보도

4. 보행교통섬 (보행섬식 횡단보도)

5. 차도폭 좁힘

6. 연석확장기법

7. 굴곡도로(Chicane)

8. 도로폐쇄

5절 횡단보도 주변 미끄럼방지 포장

1. 미끄럼 방지포장

6절 조명시설

1. 횡단보도 조명시설

7절 보도

1. 보도

2. 턱낮춤

3. 자동차 진입억제용 말뚝

8절 기타

1. 생활도로구역(30구역) 지정

2. 교육 홍보 활동 강화

3. 불법 주정차 단속

4. 단속카메라(속도, 신호위반, 주정차 등) 설치

5. 노상주차장 철거

6. 버스정류장, 택시승강장 이설 


보행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시설 설치 가이드북.pdf

반응형
반응형

 도로시설, 도로안전시설, 교통안전시설, 도로관리시설, 교통관리시설

 

[자료 : 교통안전진단 지침]

 

도로시설이란

- 도로와 그 시설에 부속되어 사람의 이동 또는 교통수단의 원활하고 안전한 운행을 보조하는 도로안전시설·도로관리시설·교통안전시설 등을 말함

 

도로안전시설이란

- 교통사고를 방지하고, 도로이용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도로에 설치하는 방호울타리, 조명시설, 시선유도시설, 도로반사경, 충격흡수시설, 과속방지시설, 미끄럼방지시설, 낙석방지시설 및 장애인안전시설 등을 말함

 

도로관리시설이란

- 도로이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효율적인 도로운영을 위하여 설치하는 배수시설, 횡단보도육교, 도로표지, 긴급연락시설, 도로교통정보 안내시설 및 교통감지시설 등을 말함

 

[사진출처 : trafficsafetymacomb.org]

교통안전시설이란

- 도로에서 교통사고를 방지하고, 원활한 교통소통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도로교통법 제4조에 따른 신호기, 안전표지 및 노면표시를 말함


[자료 : 도로설계요령]

도로안전시설이란

- 도로 교통의 안전하고 원활한 소통을 확보하며, 도로의 미비한 구조 상태를 보완하여 도로이용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설치하는 시설물로써, 다음과 같은 시설들을 포함

시선유도시설

방호울타리

충격흡수시설

조명시설

과속방지턱

노면표시 감속유도시설

도로반사경

미끄럼방지포장

노면요철포장

긴급제동시설

안개지역 안전시설

입체횡단보도

교통약자를 위한 안전시설

 

교통관리시설

- 교통관리시설은 도로 이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또 이용자의 행동을 통제함으로써 교통 소통을 증진시키고 도로상의 안전을 보장하는 시설로서, 다음과 같은 시설들을 포함

교통안전시설

(교통신호기, 교통안전표지, 교통노면표시)

도로표지

도로명판

긴급연락시설

과적차량검문소

지능형 교통체계

반응형
반응형

 수막현상(水膜現象, Hydroplaning)

 

수막현상(水膜現象, Hydroplaning)은 차량이 차량이 빗길과 같이 물이 고여 있는 장소를 고속으로 주행할 때, 차량의 바퀴가 물 위에 떠서 미끄러지는 현상을 말함.

 

- 수막현상이란 비가 내려 노면에 많은 물이 덮여 있을 때 도로 위를 자동차가 고속으로 달리면 타이어와 노면 사이에 물로 인해 얇은 막이 생기는 것을 말함.

- , 타이어가 노면에 밀착되는 게 아니고 빙판길을 달리다가 넘어지는 것과 유사한 미끄러지는 상황이 연출될 수 있음

- 수막현상이 발생하면 타이어와 노면 사이의 마찰 저항이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에 자동차의 제동, 조향 장치들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음

- 수막현상이 방지하기 위해서는 타이어와 노면 사이에 있는 수막을 밀어내고 접촉력을 높여야 하며, 타이어의 회전속도를 늦춰 차 무게가 충분히 노면에 전달될 수 있도록 저속운행이 필요

반응형
반응형

 베이퍼룩(Vapor Lock) 현상, 페이드(Fade) 현상

 

베이퍼 록(Vapor Lock)

- 긴 내리막길 등에서 짧은 시간에 풋 브레이크를 지나치게 자주 사용하면 마찰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브레이크 오일 속에 기포가 형성되어 브레이크가 잘 작동되지 않는 현상

- 베이퍼록 현상은 브레이크오일에 기포가 발생하여 브레이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현상을 말함

- 긴 내리막길에서 브레이크를 지나치게 사용하면 차륜 부분의 마찰열 때문에 휠실린더나 브레이크 파이프 속의 오일이 기화(액체가 끓으며 기체로 변하는 현상)되고, 브레이크 회로 내에 공기가 유입된 것처럼 기포가 형성되며. 이때 브레이크를 밟아도 스펀지를 밟듯이 푹푹 꺼지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는 현상이 생기는데 이를 베이퍼록이라 함

 

페이드(Fade) 현상

- 마찰열 때문에 라이닝이 변질하여 마찰계수가 떨어지면서 브레이크가 밀리거나 작동되지 않는 현상

- 빠른 속도로 달릴 때 풋브레이크를 지나치게 사용하면 브레이크가 흡수하는 마찰에너지는 매우 크며, 이 에너지가 모두 열이 되어 브레이크라이닝과 드럼 또는 디스크의 온도가 상승 하게됨

- 이 때 마찰계수가 극히 작아져서 자동차가 미끄러지고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게 되는 현상을 페이드 현상이라고 함.


반응형
반응형

 스탠딩 웨이브 현상(Standing Wave)

 

스탠딩웨이브현상이란 ?

자동차가 고속 주행할 때 타이어 접지부에 열이 축적되어 변형이 나타나는 현상

 

[사진출처 : http://taas.koroad.or.kr]

 

 

- 고속주행 시 나타나는 타이어의 물결현상으로, 자동차가 도로 위를 주행할 때에 노면과 맞닿는 부분은 곡선이 아니라 직선인 상태로 접촉하게 되지만 타이어는 탄성이 강하기 때문에 접지면에서 떨어지는 순간 복원력이 작용해 곧 회복함.

- 이 때 타이어가 고속으로 회전하면 노면과의 접지부에서 일어나는 변형이 미처 회복되기 전에 다음 변형을 맞게 되어 타이어가 물결 모양으로 뜨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러한 진동이 타이어의 회전속도와 같은 주기로 되면 마치 물결치는 모양이 멈춘 것처럼 보이게 되는데 이것을 스탠딩 웨이브(Standing Wave) 현상이라고 함

- 스탠딩 웨이브 현상이 일어나면 타이어는 심한 저항을 받게 되며 타이어의 주변부가 파도가 치는 듯한 형상으로 찌그러지면 그만큼 저항이 심해 원활한 회전 운동이 불가능해짐.

- 저항이 심하다는 것은 마찰열도 커진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 스탠딩 웨이브 현상이 일어나는 데도 속도를 줄이지 않고 계속 달리면 타이어의 마찰열이 커지고, 한계를 넘기면 마침내 타이어는 파열하게 됨.

반응형
반응형

 옵셋결정방법

 

[자료 : 교통신호기 설치 관리 매뉴얼, 경찰청]

 

한방향 우선옵셋

- 일방통행도로의 경우 한쪽방향의 이동류만을 고려하면 되기 때문에 양방통행도로에 비해 효과적인 연동계획수립이 가능하며, 운영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 이 경우 옵셋은 이상적인 상태에서의 옵셋이며, 양호한 연동효율로 차량의 연속진행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방통행 시스템하에서는 효율적인 신호운영과 교통류 관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국내외적으로 각 도시마다 교통혼잡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써 양방통행도로의 일방통행제의 전환이 심도있게 검토되고 있는 상황이다.

- 양방통행도로에서 한쪽방향에 대한 옵셋설정은 대향방향의 옵셋도 사전에 결정하기 때문에 방향별 교통량을 고려하여 신중히 결정하여야 한다. 하지만 양방향 도로라 할지라도 한쪽방향의 교통류 처리가 특별히 중요하여 다른 방향 교통흐름이 조금 지체되어도 좋을 상황이거나, 시간대별로 방향별 교통량의 차이가 뚜렷한 경우에는 주요방향의 교통류처리에 중점을 두고 연동계획을 수립하면 된다. 이때 오전첨두나 오후첨두시 등 시간대별로 방향별 교통량의 변화가 클 경우에 연동계획은 시간대별로 다르게 설정되어야 한다. 하지만 양방통행로를 일방통행도로와 같이 전적으로 한방향의 연속진행만을 고려할 경우 반대방향의 차량진행은 막대한 지체를 겪게 될 것이므로 한방향 우선옵셋을 설정할 경우에도 다른 방향에 대해서도 일정수준의 진행효율이 확보되도록 조정해야 한다.

 

양방향 균형옵셋

- 양방향 교통류에 대한 동등한 진행대폭을 확보하기 위한 최적의 방법은 동시신호시스템이나 교호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미 언급한 것과 같이 단일교호시스템은 양방향 진행대폭 효율을 25%로 할 수 있고 이중교호시스템은 진행대폭을 50%로 동등하게 운영할 수 있으며, 동시신호시스템의 경우 연동화되는 교차로수에 따라 연동효율이 다르지만 역시 양방향 이동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하지만, 동시신호시스템이나 교호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여러 제약요건으로 인해 적용할 수 있는 지점이 한정적일 수밖에 없어 모든 교차로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 그러므로 일반적인 조건하에서 양방향 교통류를 모두 효과적으로 진행시키기 위해서는 연동속도, 주기, 시간분할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시행착오(trial-and-error)법을 사용해 접근하도록 해야한다. , 연동시스템의 주기를 증가시킨다거나, 혹은 연동속도를 변화시켜 진행대를 나타나는 시공도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방법을 통해 양방향 진행대폭의 효율을 효과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스템내의 주기길이를 증가시키면 일정수준 이상의 차량진행효율 확보가 비교적 용이하게 될 수 있으며 교차로 처리용량도 어느정도 증가하게 되지만 연동속도는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연동체계내 전체 주기의 증가는 시스템내의 차량대기시간의 증가나 지체의 확산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반드시 고려하여 결정하도록 해야 한다.

 

[사진출처 : https://ops.fhwa.dot.gov/]


대기차량길이를 고려한 옵셋

- 옵셋은 상류부 교차로를 출발한 차량이 하류부 교차로 도착시점에 녹색신호를 나타내도록 설정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신호교차로의 각 접근로에는 좌회전이나 우회전으로 유입되는 차량, 링크중간이나 주차지역에서 유입되는 차량, 그리고 이전 주기에서 미처 교차로를 통과하지 못하고 남아있는 차량들로 인해 대기행렬이 형성되게 되어 옵셋결정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 , 대기행렬을 형성하고 있는 차량이 존재할 경우에는 녹색신호를 받아 출발하기 시작하여 마지막 대기차량이 움직이기 시작할 때 상류교차로에서 출발한 차량군이 대기행렬의 후미에 도착하도록 옵셋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quity 옵셋

- 도시부 지역의 경우 차량이 지속적인 증가와 도로시설의 공급부족으로 인해 만성적으로 정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오전 출근시간대나 오후 퇴근시간대의 경우 특정한 주요교차로의 처리용량을 훨씬 초과하는 교통수요가 집중되어 극심한 혼잡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런 경우 지속적인 용량부족으로 인해 주기가 반복될수록 하류부 교차로 접근상에 대기차량은 증가하게 되고 결국은 상류부 교차로의 녹색신호가 등화되어도 차량이 교차로를 진입할 수 없는 앞막힘 현상(spillback)이 발생하게 된다. 앞막힘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교차도로의 차량도 진행하지 못하게 되고 결국 교통흐름이 와해되어 버리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 Equity 옵셋은 앞막힘 현상이 발생했거나,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주요교차로의 상류교차로에 혼잡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상류부 교차로내에 차량이 소거되는 시점에 교차도로의 녹색신호가 등화되어 차량의 이동성을 확보하며 혼잡링크로의 차량진입도 억제하여 기존 도로용량을 최대한으로 사용하기 위해 적용한다.

- Equity 옵셋은 교통량과 차량 대기행렬의 증가추세에 따라 적용시기를 적절히 선택할 경우 앞막힘 현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교차도로의 녹색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도심전체의 교통혼잡 해소에 기여할 수 있지만, 교통량/용량비가 크지않은 한산한 교통상태에서 적용할 경우 오히려 주도로 차량의 연속진행을 방해하여 처리효율을 떨어뜨리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반응형

+ Recent posts